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4 pp.482-49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482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 in Two Ecotypes of Soybean at Paddy Field Condition in the Mid Part of Korea

Chang-Hwan Park†, Chung-Guk Kim, Ja-Hwan Gu, Gun-Ho Jung, Jong-Ho Seo, Ok- Kyu Han, Dae-Uk Kim, Jong-Jin Hwang, Young-Up Kw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441-70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290-6756 park6725@korea.kr
September 11, 2014 October 17, 2014 October 25, 2014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two soybean ecotypes from 2012 to 2013. Three summer types of soybean varieties, Seaol, Chamol, Hanol and three autumn types, Hwanggum, Taegwang, Daepung were planted 4 times from 1 May to 1 August in paddy fiel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Suwon, Korea. Emergence rate was shown to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and the lowest planting at 29 June cause of the severe drought in 2012. The emergence period and days to flowering shortened as planting date delayed regardless of varieties. Emergence period more reduced in 2013 than in 2012 and days to flowering was more shortened in the summer types than in the autumn types. Stem height, number of main stem nodes, stem diameter were different among the summer types and the autumn types and reduced as planting date delayed. Number of main stem nodes and number of branch were different but no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stem height and stem diameter between 2012 and 2013. The number of pod per plant was the highest planting at 21 May and the lowest planting at 1 August and more in the autumn types than in the summer types. The number of seed per plant was the highest at planting 29 June and the lowest at planting 1 August and more in the autumn types than in the summer types and more in 2012 than in 2013. It was observed that one hundred seed weight was reduced rapidly planting at 1 August and heavier in the summer types than in the autumn types and heavier in 2013 than in 2012. Seed yield was the highest at planting 29 June and the lowest at planting 1 August, and 85kg/10a higher in the autumn types and 47kg/10a higher in 2012 than in the summer types and 2013, respectively.


중부지역 논 콩 파종시기에 따른 품종군별 생육 및 수량

박 장환†, 김 충국, 구 자환, 정 건호, 서 종호, 한 옥규, 김 대욱, 황 종진, 권 영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867401

    콩은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주요 식량작물중 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된장, 간장 등 전통식 품의 원료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콩은 토 양을 비옥하게 하고 다른 작물과의 작부체계에도 많이 적용되 고 있는 작물이면서 소득작물 과잉생산에 대한 완충작물로서 가격안정 및 수급조절 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Pyun, 2007; Park et al., 2001). 콩은 기상생태형으로 보아 여름콩형, 가을콩형 및 중간형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품종의 감온성 및 감광성 정도에 따른 개화와 성숙의 조만에 의한 것이며(Cho, 1987; Chu et al., 1996), 일반적으로 콩의 개화, 결실 및 성 숙일수는 연차간, 품종간,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있고(Seung, 1993),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개화일수, 결실일수, 성숙일수 가 단축되었고, 단축정도는 만생종이 조생종 보다 컸으며, 경 장, 경직경, 주경절수, 분지수도 감소되었고 개체당 협수, 개체 당 립수, 100립중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Choi et al., 1980). Holmberg (1973)는 콩의 개화 및 결협에 는 평균 약 17℃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Cho (1987)는 등숙기간의 평균기온이 1℃ 높아짐에 따라 3.3 ~ 4.5 일씩 결실기간이 단축되며, 15.5 ~ 32.2℃의 온도 범위내에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 낙화와 낙협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Kwon et al. (1982)은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5 ~ 6월의 생육 초기에는 온도와 생육정도 간에 높은 정의 상관이 있으나, 7 ~ 8월의 온도는 부의상관이 있으며, Green et al. (1965)은 조생종의 성숙중 고온건조는 종자의 품질이 낮아져 발아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하였다. Park et al. (1996)은 저온에 비하 여 고온조건에 재배된 콩은 개화 및 생육일수가 크게 단축되 고 과번무로 종실발달이 나빴고 조파, 직파보다 6월20일 만파 에서 가장 증수되었으며 저온에서는 생장이 억제되어 경장이 짧아지고 착협수도 감소된다고 하였고 Won et al. (1983)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콩 파종기에 따른 생육반응 을 보면 만기재배보다 조기재배에서 경장, 경태, 분지수, 절수 가 많았다(Pyun, 2007)고 하였고, 콩은 만파할수록 품종간 차 이는 있으나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등이 크게 단축되 고 건물중도 현저히 감소된다(Park et al., 1996; Kwon et al., 1978; Park et al., 1987)고 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지면 콩의 수량이 감소되는 것은 생육일수의 단축에 따른 수량구성 요소의 감소 때문(Cha and Lee, 1979; Choi et al., 1980; Kim et al., 1981; Kim et al., 1993)이라는 보고가 많다. 파 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이 있는데(Baek et al., 1995; Beatty et al., 1982; Choi et al., 1980; Green et al., 1965; Kim et al., 1995; Osler & Cartter, 1954; Park & Son, 1987; Park, 1974; Shin et al., 1992; Seung, 1993), 이런 파종기를 결정하는 가정 중요한 요인은 온도의 계절적인 변화이며 파종, 생장, 질소고정, 개화 및 성 숙 등의 생육 및 발육에는 최적온도가 있으며 변온은 결실과 품질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재배기간 중의 정상이하 또는 정 상이상의 큰 온도변화는 이들 생육과정에 저해 요소가 된다 (Lee, 1994)고 하였다. Pyun (2007)은 만기재배보다 조기재배 에서 도복이 심하였으나 협수가 많았고 100립중이 높아 수량 도 많았으며, Kim et al. (2006)은 개체당 협수, 립수, 100립 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다. Kwon et al. (1975)은 콩의 수량이 경장, 분지수, 절수 및 협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다고 하였고, Song et al. (1990)은 백립중이 성숙기 및 결실일수와 높은 정의 상관 이었으나 개화기, 경장, 분지수, 절수, 협수와는 부의 상관이 있다고 하였다. Choi et al. (1980)은 우리나라 콩 파종가능기 간은 4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100일 정도이나 실제 파종 적기는 단작의 경우 5월 중순, 2모작은 6월 중하순이며, 이보 다 파종기가 늦어지면 경장, 주경절수, 분지수 및 100립중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Kim et al. (1987)은 밀양에서 4월26일부 터 7월10일까지 파종하여 실시한 시험에서 6월10일 이전에 파 종한 것이 수량이 높았다고 하였고, Seong & Kim (1989)도 밀양에서 4월26일부터 6월25일까지 파종하여 실시한 시험에 서 이모작으로 파종할 수 있는 6월10일보다 빨리 파종할수록 증수가 이뤄진다고 하였다. Park et al. (1987)은 전남 목포에 서 5월10일에서 7월9일까지 콩을 파종하여 실시한 시험에서 5월30일 파종구가 수량이 가장 높다고 하였는데 5월10일 파 종구의 경우 과번무와 영양생장기간의 이상발육으로 엽면적과 건물중은 높았으나 경건물중, 협당립수 등 5월30일에 비해 감 소한 것으로 보아 Sink/Source 불균형과 도복과 과번무, 흑색 뿌리썩음병 등으로 수량이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콩의 작부형 태는 1990년대에 이후로 동작물인 양파, 마늘과 맥류의 후작 으로 재배되는 등 작부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Park et al., 2001). 최근 들어 잦은 강우나 가뭄 또는 초가을까지도 고온이 지속되는 등 우리나라의 콩재배 환경이 바뀌어 지고 있다. 기존의 중부지방 콩 파종적기는 단작은 5월 하순에서 6 월 상순, 2모작은 6월 상순에서 중순경으로 설정되어있으나 최 근 기후변화로 등으로 인해 작물생육 한계선이 북상하고 있어 콩의 파종적기 및 파종 한계기를 재검토 하고 타 작물과 연계 되는 다양한 작부체계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논에서 콩을 보다 안정적으로 생 산할 수 있는 콩 파종기 재설정과 논의 콩 이모작 재배 확대 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수원의 국립식량 과학원 밭 전환 논 시험포장 실시하였으며, 시험품종으로는 새 올(Baek et al., 1998), 한올, 참올 등 조숙종 3품종과 황금, 태광, 대풍 등 중만생종 콩 3품종을 이용하여 파종기를 5월21 일, 6월12일, 6월29, 8월1일로 4시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재 식거리는 60 × 15 cm를 기본으로 하였고 조숙종의 경우 6월1 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60 × 10 cm로 하여 최대수량 조건의 표 준재배법을 따랐으며 1주 2본으로 개체수를 고정하였고, 시비 량은 10 a당 성분량으로 질소 3 kg, 인산 3 kg 및 가리를 3.4 kg을 전량 기비로 시비하였는데 질소는 요소, 인산은 용성 인비 그리고 가리는 염화가리로 시용하였다. 휴립을 하여 고 휴 1열 재배로 하였고 기타관리는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사업 표준재배법에 준하였고 통계는 R(Version 3.1.1; 2014.7.10.)로 분석하였다. 출현율 등 생육특성과 수량은 농촌진흥청 농사시 험연구 조사기준(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2004)에 따랐다. 백립중은 시험구별로 풍건한 완전립으로 3회 측정하 였고, 수량은 시험구별로 12m2 수확하여 건조, 탈곡하고 칭량 하였으며, 수분함량을 14%로 보정하여 종실수량을 1,000 m2로 환산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재배기간 중의 기상변화

    5월부터 10월까지 콩 생육기간중 수원지방의 평균기온을 살 펴보면 Fig. 1과 같이 2012년에는 21.8℃로서 평년 21.3℃ 대비 0.5℃ 높았으며, 2013년에는 평균기온은 20.2℃로서 평 년 20.1℃ 대비 0.1℃ 높았다. 강수량은 2012년에 1,455 mm 로서 평년 1,295 mm 대비 160 mm 정도 더 많았으며, 2013 년에는 1,085 mm로서 평년 951 mm 대비 134 mm 적어 연차 간에 강수량 차이가 많았다. 일조시간은 2012년에 1,163시간 으로 평년 1,100시간 대비 63시간 더 많았고, 2013년에 일조 시간은 1,175시간으로 평년 대비 75시간 더 많았다. 위의 기 상을 토대로 콩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2012년도에는 5월 상순부터 6월 중순까지 강우량이 특히 부족하였는데, 무강우 기간이 4월23일부터 5월13일까지는 21 일간, 5월15일부터 6월28일까지는 45일간으로 빠른 파종시기 에는 심한 한발조건으로 출현 및 초기에 생육이 저조하였고 콩의 협 형성·비대기인 7월 상중순의 집중호우로 습해 발생을 초래한 반면, 평균기온은 전 생육기간에 걸쳐 높게 경과하였 으며 생육 후반기로 가면서 일조시수가 많았고 기온이 높아 콩 성숙에는 유리한 환경이었다. 2013년에는 잦은 강우량을 보여 토양수분 부족을 초래하지 않았지만, 장마기간이 6월18일부터 8월6일까지 50일간으로 아주 길었으며, 최고 강우지속 시간은 7월11일부터 7월18일까지 88시간 지속되어 일조부족 이 심하였고 습해 등으로 빠른 파종기의 콩 생육에는 불리한 조건으로 경과되었다고 보여진다. 반면에 전 생육기간을 통해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약간 높게 경과하였으며, 립비대기인 8 월 중순 이후로는 평년에 비해 일조시수가 많아 성숙에는 크 게 불리하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출현율, 출현소요일수 변화

    파종기에 따른 출현율을 보았을 때 Table 1과 같이 파종기 조·만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6월 29일 파종기에서 낮 았는데, 이는 2012년도 파종기 때의 심한 한발로 인한 출현율 저조로 인한 것으로 보여 진다. 품종간 비교 시 중만숙종인 태광콩이 가장 높았고 조숙종 참올, 중만숙종 황금이 가장 낮 았다. 연차 간에 총 평균 출현율을 비교해 보면 2012년 93.3%, 2013년 93.0%로 연차 간에 출현율의 차이가 없었고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따라서 출현율은 파종기 조만에 따른 영향 보다는 파종기의 토양수분상태와 기온, 품종에 따른 차 이가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는 출현 율은 생태형에 따라 파종기 간 및 연차 간에 차이가 있으며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 으나, 중만숙종 콩의 경우 연차내에서도 파종기간에 일정한 경 향 없이 출현율의 차이가 심하였다고 하였고, 총평균 출현율 을 보았을 때 연차 간, 두 생태형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 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출현율이 두 생태형 간에 유의적인 차 이는 볼 수 없었다는 결과(Chu et al., 1996)와 유사한 결과 로 볼 수 있었다.

    출현소요일수는 Table 2에서와 같이 5월21일 파종구에서는 6.9일이 소요되어 가장 길었고 다음이 6월29일 파종구에서 6.5 일, 6월12일 파종구에서 6.1일, 8월1일 파종구에서는 4.0일이 소요되어 만파될수록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숙종, 중만 숙종 품종에 관계없이 모두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간 비교시 조숙종의 세올과 중만숙종의 황금이 2년 평균 6일로 가장 길었고 조숙종 참올, 중만숙종 태광, 대풍이 5.8일로 가 장 짧았다. 조숙종, 중만숙종에 따른 품종군간 차이는 없었으 며, 연차 간에 총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2012년도에 6.0, 2013년도에 5.7로 연차 간에는 출현율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Chu et al. (1996)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두 생태형 모두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차 간에 차이가 있었고, 파종기에 따른 평균 출현기간이 두 생태형 간에 유의 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

    개화소요일수 변화

    개화소요일수는 Table 3에서와 같이 5월21일 파종기에서는 조숙종, 만숙종 평균 51.2일이 소요되었으나 6월12일 파종기 에서는 45.8일로 5월21일 파종기 보다 5.4일이 단축되었다. 6 월29일 파종기에서는 41.8일로 소요되었으나 6월12일 파종기 보다 4일이 단축되었고, 8월1일 파종기에서는 39.7일로 6월29 일 파종기 보다 2.1일이 단축되었다. 개화소요일수의 품종간 차이를 보았을 때 조숙종 참올, 한올이 각각 41.6일, 41.4일로 가장 짧았고 만숙종 태광이 48.5일로 가장 길었다. 품종군 간 평균치를 보면 조숙종 3품종 평균이 41.9일로 만숙종 3품종 평균 47.4일 보다 5.5일이 더 빨랐다. 연차 간에 총 개화소요 일수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2012년 44.6일, 2013년 44.7일로 연차 간에는 개화소요일수의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 약해 보면, 조숙, 만숙 품종에 관계없이 만파될수록 개화일수 가 단축되며, 단축폭도 만파될수록 적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러한 결과는 Chu et al. (1996)이 여름콩형 및 가을콩형 두 생태형 모두 파종기 지연에 따라 개화, 결실 및 성숙일수가 단축되며 단축폭은 조숙종 보다 가을콩형이 더 크다는 보고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이 밖에 Baek et al. (1995), Choi et al. (1980), Park & Son (1987), Seung (1993)이 개화, 결실 일수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단축되었다는 보고와 일치하 며, Seung (1993)이 보고한 생태형별 차이가 있었다는 보고와 는 일치하나 연차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는 보고와 본시험 결 과와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기상조건과 품종특 성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된다.

    경장 및 분지 생육특성

    통계 분석 프로그램 R을 이용하여 주경장 등 몇 가지 생육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Table 4에서와 같이 1% 수준의 고도로 유의한 수치를 보인 형질은 파종기 간에는 주경장, 주 경절수, 분지수였으며 연차 간에는 주경절수가, 품종군 간에는 주경장, 주경절수, 경태가 파종기×연차 간 상호작용에서는 주 경장, 주경절수, 분지수였으며 파종기×품종 간 상호작용에서 는 주경절수, 분지수였으며 파종기×연차 ×품종 상호작용에 서는 주경절수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Table 5에서와 같이 주경장은 조파에서 길었고 만파에서 단 축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5월21일 파종기에서 두품종군 평균 치가 55.7 cm로 가장 길었고 8월1일 파종기에서 37.9 cm로 가장 낮았다. 두 품종군 간 비교 시 조숙종이 41.8 cm로 중만 숙종 57.1 cm 보다 15.3 cm가 적었으며, 연차 간에는 주경장 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는 Chu et al. (1996)이 보고 한 바와 같이 조파에서 길고 파종기 지연에 따라 주경장이 짧 아졌다는 보고와 중만숙종 보다 조숙종이 단간이며, 동시에 일 장의 영향을 덜 받아 조숙종이 중만숙종에 비해 일장에 둔감 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와 일치하나 연차 간에 두 생태형 모두 차이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달랐는데, 이는 재배조건 및 환경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주경절수는 6월12일 파종기 에서 두 품종군 평균 14.2개로 가장 많았고, 8월1일 파종기에 서 11.3개로 가장 적었다. 대체적으로 만파될수록 감소되는 경 향을 보였으며, 품종군 간 비교 시 중만숙종이 13.7개로 조숙 종 보다 1.3개가 더 많았고 연차 간 비교 시 2012년이 14.1 개로 2012년 보다 2개가 더 많았다. 이는 Chu et al. (1996) 이 보고한 바와 같이 주경절수는 경장, 경직경에 비해 적은 변이를 보이며 조파에서 높고, 중만숙종보다는 조숙종이 파종 기 지연에 따른 감소폭이 적게 나타났다는 결과와 생태형에 따른 주경절수의 차이가 많았다는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분지수는 6월29일 파종기에서 두 품종군 전체 평균치 2.8개로 가장 많았고 6월12일 파종기에서 가장 적어 일정한 경향이 없 었으나, 품종군간 비교시 중만숙종에서는 5월21일 조파에서 1.9개로 가정 적었고, 만파할수록 많아져서 8월1일 파종구에서 3.5개로 가장 많았다. 조숙종은 파종기별로 일정한 경향이 없 었고 중만생종은 만파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 군 간에는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약 1개가 더 많았고 연차 간에는 2012년이 2013년 보다 0.4개가 더 많았다. 이는 Chu et al. (1996)이 보고한 조숙형, 만숙형 모두 4월22일 파종에 서 많았다고 하였고,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분지수가 적어 졌다는 결과와 연차 간에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와는 다른 결 과로 추가적인 시험이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태를 파 종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주경장과 같은 경향으로 조,만 품 종 모두 조파에서 크고 만파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 는데, 5월21일 파종기에서 두품종군 평균치가 9.3 mm로 가장 크고 8월1일 파종기에서 5.6 mm로 가장 작았다. 두품종군 간 비교시 중만숙종이 8.5 mm로 조숙종 보다 1.7 mm 더 크게 나타났으며, 연차 간에 경태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같 은 결과는 Chu et al. (1996)이 경직경에는 파종기 간 및 연 차 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는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 다. 이상의 생육형질 특성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같은 생육특성들은 파종기 간, 생태형 간, 연차 간에 차이가 있다는 Seung (1993)의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Choi et al. (1980), Kim et al. (1995), Shin et al. (1992)이 보고한 경우와 같이 대체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한 Chu et al. (1996)이 파종기 간에 경장, 주경절수, 분지수, 경직경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두 생태형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한다는 보고와 같은 결과이며, 연차 간에 따라 위와 같은 형질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다고 하였 으나 본 시험 결과에서는 주경장과 경태와 같은 일부 형질에 서는 다소 다른 결과로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의 차이는 연 차간의 토양상태 등 여러 가지 재배조건과 온도 및 일조, 강 수량의 차이 등 환경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대체적으로 파종기 지연에 따라 지상부 생육형질의 감소, 즉 경장은 짧아지고 주 경절수가 감소되며 경태가 작아지는 등 경장과 경직경의 역관 계, 연차간 환경 차이에 따른 생육차이를 보여준다는 선행 연 구결과와 같은 맥락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량 및 수량관련 특성

    Table 6은 통계 분석 프로그램 R을 이용하여 협수 등 몇 가 지 수량관련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로 1% 수준의 고도로 유의한 수치를 보인 형질은 파종기 간에는 협수, 립수, 백립중, 수량 모두가 해당되었으며 연차 간에는 수량이, 품종군 간에는 협수, 립수, 백립중, 수량 모두가, 파종기×연차 간 상호작용에 서는 백립중, 수량이였으며, 연차간×품종 간 상호작용에서는 수량이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수량관련 형질을 살펴보면 Table 7에서와 같이 주당 협수는 2년간에 걸쳐 조숙종, 중만숙종 전체 평균치를 비교해 보았을 때 5월21일, 6월29일 파종기에서 각각 35.4개, 33.2개로 많았 으며 다음이 6월12일 파종기에서 26.5개, 8월1일 파종기에서 는 20개로 가장 낮았다. 6월12일 파종기에서 조숙종 품종이 특히 협수가 적었는데, 이는 협 형성 및 협비대 초기인 7월 상·중순에 2012년도의 집중호우와 2013년도의 지속적인 강우 로 인한 일조부족 및 습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8월1일 파종기에서는 조만 품종에 상관없이 협수가 현저하게 적어 이는 파종기가 너무 늦어 협 형성에 필요한 최 소한의 생육기간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 파종 기에 걸쳐 조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치를 보면 중만숙종이 36.6개로 조숙종보다 15.7개가 더 많았고, 연차 간 비교 시 2012년이 30.6개로 2013년보다 3.7개 더 많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주당 립수도 협수와 대체로 같은 경 향으로 2년간에 걸쳐 조·중만숙종 전체 평균치를 비교해 보았 을 때 6월29일과 5월21일 파종기에서 각각 65개, 55.4개로 가장 많았고 6월12일 파종기가 41.6개로 그 다음을 차지했고, 8 월1일 파종기에서는 29.7개로 가장 낮았다. 6월12일 파종기에 서는 립수가 조숙종 중만생콩 모두 전반적으로 낮았는데, 전 술한 바와 같이 개화기 무렵의 연속강우로 인한 착협 불량으 로 판단된다. 전 파종기에 걸쳐 조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 치를 보면 중만숙종이 59.7개로 조숙종 보다 23.6개가 더 많 았고, 연차 간 비교 시 2012년이 53.4개로 2013년보다 11개 더 많았다. 백립중은 2년간에 걸쳐 조·중만숙종 전체 평균치 를 비교해 보았을 때 5월21일, 6월12일 파종기에서 모두 27.4 g으로 두 파종기간에 같았고, 6월29일 파종기에서 26.9 g 으로 다소 낮았지만, 위 3파종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 지 않았다. 8월1일 파종 시는 협이 정상적으로 성숙이 되지 않았고 백립중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전 파종기에 걸쳐 조 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치를 보면 조숙종이 26.9 g으로 중 만숙종 보다 4.9 g 정도가 더 무거웠고, 연차간 비교시 2013 년이 25.6 g으로 2012년보다 2.2 g 더 무거워 연차간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10a당 수량을 보면 2년간에 걸 쳐 조중만숙종 전체 평균치를 비교해 보았을 때 6월29일 파 종기에서 329 k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6월12일 파종기 에서 275 kg, 그 다음이 5월21일 파종기에서 227 kg 순으로 낮아졌다. 8월1일 파종기에서는 115 kg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종기가 너무 늦어 협 형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생육기간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 파 종기에 걸쳐 조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치를 보면 중만숙종 이 279 kg로 조숙종 보다 85 kg 더 많았고, 연차간 비교시 2012년이 260 kg로 2013년보다 47 kg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 를 종합해 보면, Chu et al. (1996)이 개체당 협수에서 두 생 태형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없었지만 조파에서 많은 경향이었 고, 파종기 지연 및 연차간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와 같았고, 100립중은 파종기에 따라 조숙종 감소, 만숙형은 큰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와 비슷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Baek et al. (1995), Choi et al. (1980), Kim et al. (1995)이 이들 수량 구성요소는 만파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보고와 다 소 다른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논 밭 토양 조건에 따른 차이 와 연차간의 재배환경, 파종기간의 간격 설정 등에 따른 차이 로 판단된다. Park et al. (1987)은 100립중이 수량구성요소 중 가장 민감한 요소라고 추정하였으나, 본시험에서는 100립 중 보다는 협수와 립수가 더 크게 영향을 끼친 요소라고 판단 되며, Chu et al. (1996)이 개체당 협수가 더 민감한 것으로 보았다는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Park et al.(1987) 이 5월10일에서 7월9일까지 파종기를 달리하여 실시한 시험 에서 5월30일 파종구가 수량이 가장 높다고 하였는데 5월10 일 파종구의 경우 과번무와 영양생장기간의 이상발육으로 엽 면적과 건물중은 높았으나 경건물중, 협당 립수 등이 5월30일 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보아 Sink/Source 불균형과 도복 등으 로 인한 병해가 수량 감소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았다는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적 요

    중부지역에서 논 콩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콩 조숙종 3품종과 중만생종 3품종 을 경기 수원지역에서 5월 21일, 6월12일, 6월29일, 8월1일 4 회 파종을 하여2012년부터 2013년까지 2개년 간에 수행하여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율은 파종기 조·만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중만숙종인 태광콩이 가장 높았고 조숙종인 참올, 중만숙종 황 금이 가장 낮았으며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

    2. 출현소요일수는 만파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며 조숙 종, 중만숙종 품종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연차 간에 총 평균 출현소요일수의 차이가 있었다.

    3. 개화소요일수는 조·중만숙종 품종에 관계없이 만파될수록 개화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단축폭도 만파될수록 적어졌다. 조 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5.5일이 더 빨랐고, 연차 간에 개화소요 일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주경장은 조파에 비해 만파에서 단축되는 경향이었으며 조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적었고 연차 간에 주경장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분지수는 조숙종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중 만생종은 만파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중만숙종이 조 숙종 보다 많았고 연차 간에 차이가 있었다.

    5. 주당협수는 조파에서 가장 많았고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 다 많았으며 연차 간 차이는 없었다. 주당립수는 전 파종기 조·중만숙종 전체평균치는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더 많았고 연차간 비교시 2012년이 2013년보다 더 많았다. 백립중은 조 기 3파종기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만파에서는 현저하 게 낮아졌으며, 조숙종이 중만숙종 보다 더 무거웠고 연차 간 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6. 10a당 수량은 6월29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이 6월12일, 5월21일 순으로 낮아졌으며 8월1일 파종기에서 가장 낮았다. 전 파종기에 걸쳐 조숙종과 중만숙종 전체평균 치를 보면 중만숙종이 조숙종 보다 많았고 연차 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Figure

    KSIA-26-482_F1.gif

    Mean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uring soybean growth period in 2012, 2013.

    Table

    Emergence rate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column and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Emergence period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column and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Days to flowering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column and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Mean squares on analysis of variance of the some growth character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Stem height and diameter, number of main stem nodes and number of branche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column and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6. Mean squares on analysis of variance of the some yield component character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Yield and yield component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from 2012 to 201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column and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Reference

    1. Baek I.Y , Shin D.C , Park C.K , Lee J.M , Suh H.S (1995) Effect of planting time on seed production of vegetable soybean at different location , Korean J. Crop Sci, Vol.40 (1) ; pp.44-51
    2. Baek I.Y , Shin D.C , Kang S.T , Song S.B , Hur S.O , Kwack Y.H , Lim M.S (1998) Korean J. Breed, Vol.30 (4) ; pp.397
    3. Beatty K.D , Eldrige I.L , Simpson A.M (1982) Soybean response to different planting patterns and dates , Agron. J, Vol.74; pp.859- 861
    4. Cha Y.H , Lee J.Y (1979) Effect of sowing time and sowing density on the yield and its component of soybean intercropped with barley or aftercropped , Korean J. Crop Sci, Vol.24 (3) ; pp.43-50
    5. Cho J.Y (1987) Upland Crop, Hyangmunsa, pp.290-291
    6. Choi K.G , Kim J.K , Kwon Y.J , Lee S.C , Jean B.K (1980)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e soybean(Glycine max (L) Merr) cultivars 1 effects of sowing dates on yield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istics , Korean J. Crop Science, Vol.25 (3) ; pp.41-49
    7. Chu Y.H , Chung K.W , Joo M.K (1996)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 in two ecotypes of soybean , Korean J. Crop Sci, Vol.41 (1) ; pp.86-94
    8. Green D.E , Pinnel E.L , Cavanah L.E , Willams L.F (1965) Effect of planting date and maturity date on soybean seed quality , Agron. J, Vol.57; pp.165-168
    9. Holmberg S.A (1973) Soybeans for cool temperature climates , Agric. Hort. Genet, Vol.31; pp.1-20
    10. Kim H.S , Hong E.H , Park S.I , Park Y.K (1993) Responses of growth and yield charateristics on sowing density i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soybean , Korean J. Crop Sci, Vol.38 (2) ; pp.189-195
    11. Kim H.S , Kim H.S , Kim K.H , Oh Y.J (2006)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s , Korean J. Crop Sci, Vol.51 (7) ; pp.584-592
    12. Kim H.S , Koh M.H , Kim S.D , Hong E.H (1995) Growth, yield, and quality of vegetable soybean and their responses to different planting dates , Korean J. Crop Sci, Vol.40 (2) ; pp.228-235
    13. Kim K.J , Kim K.H , Kim Y.H (1981)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bean and mungbean , Korean J. Crop Sci, Vol.26 (3) ; pp.243-250
    14. Kim Y.C , Shin D.C , Park C.K (1987) Experiment and Research Report,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pp.220- 221
    15. Kwon S.H , Lee H.S , Hong E.H (1982) Meteorological constraints countermeasures in major summer crop production , Korean J. Crop Sci, Vol.27 (4) ; pp.398-410
    16. Kwon S.H , Oh. J.H , Kim J.R , Song H.S , Kim B.W (1975) Diversity of protein and oil contents of the Korean native soybean seeds (II) , Korean J. Breed, Vol.7 (1) ; pp.40-44
    17. Kwon S.H , Kim J.R , Kim B.W , Lee J.W (1978)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practice on yield and other agronomic traits of soybean cultivars , Korean J. Breed, Vol.10 (1) ; pp.59-65
    18. Lee H.S (1994) Genetic & breeding and cultivation & physiology in soybea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pp.345-359
    19. Osler R.D , Cartter J.L (1954) Effect of planting dat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s , Agron. J, Vol.46; pp.267-270
    20. Park H.K , Oh Y.J , Kim H.S , Kim K.H , Suh S.K , Suh D.Y (2001) , Future prospects for increase production of soybean, National Honam Agri. Exp. Station. RDA, pp.79-121
    21. Park K.Y (1974) Studie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vari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types of soybean cultivars (Glycine max L) under different growing condition , Korean J. Crop Sci, Vol.17; pp.45-78
    22. Park K.Y , Oh S.K , Jeong B.C , Rho S.P , Hong E.H (1987)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Glycine max(L)Merr)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Korean J. Crop Sci, Vol.32 (4) ; pp.409-416
    23. Park S.G , Son C.K , Kim C.K , Choi B.S (1996) Changes of soybean growth characteristics affected by sowing dates in the converted upland from paddy field , J. Agri. Sci. RDA, Vol.38 (1) ; pp.165- 172
    24. Park Y.K , Son S.Y (1987) Relative importance of yield determining factors in relation to source-sink in soybean , Res. Rept. RDA (Agri Institutional Cooperation), pp.263-281
    25. Pyun I.H (2007) Growth and quality responses of soyean culrivars at drained-paddy field and upland in different growing condition. Ph. D.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26.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2004) Investigating basis of agricultural experiment and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27. Seong D.K , Kim Y.C (1989) Experiment and Research Report,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pp.224-227
    28. Seung Y.K (1993) Classifying variety groups according to the flowering and mature response and genetic analysis of these traits in soybean. Ph. D. Thesis, Dankuk University,
    29. Song H.S , Lee Y.I , Kwon S.H , Song I.M , Kwon K.H (1990) Relationship between seed weight and agronomic traits in Koran native soybeans , Korean J. Crop Sci, Vol.35 (1) ; pp.28-33
    30. Shin D.C , Suh H.S , Chang K.Y (1992) Studies on limiting times of soybean sowing in southern region of Korea 1 The effect of different sowing times on the variability of characteristics in soybeans , Res. Rept. RDA (U&I), Vol.34 (1) ; pp.40-46
    31. Won J.L , Choi Y.H , Song H.S , Kwon S.H (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rological factors and soybean seed yield , Korean J. Crop Sci, Vol.28 (3) ; pp.351-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