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2 pp.127-13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2.127

Optimum Seeding Date of Soybean for Soy Sauce and Curd in Kyungnam Region of Korea

Sang-Ouk Shin†, Hyun-Tae Kim, Won-Young Han, Byung-Won Lee, Hyun-Jin Park, Jong-Min Ko, In-Youl Baek
Functional Crop Department, NICS, RDA, Miryang 627-803,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55-350-1243 shinso32@korea.kr
October 4, 2013 March 22, 2014 June 10, 2014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optimum seeding date of soybean for soy sauce and tofu in Kyungnam region for 2009~2011. Soybean seeds of Seonyu(quasi-early maturity) and Daewon(mid-late maturity) were sown from May 10 to June 25 at the 15-day interval, and dry matter production, disease occurrence, lodging and soybean yield were evaluated. Days to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in two varieties became longer as seeding date was early. Dry matter weight per unit area in R5 stage of Seonyu was the heaviest at the June 10 seeding and all seeding dates produced optimum range of leaf area index. Dry weight of Daewon in R5 stage was heavier as seeding date was earlier while leaf area index reached to optimum except the June 25 seeding. The ratio of sink/source in Seonyu and Daewon was lowest at the May 25 seeding date, which meaned the lowest load of leaf to pod. Yield of Seonyu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eding dates. Yield of Daew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 at the May 25 seeding as compared with other seeding dates. The low yield of Daewon at the June 10 seeding was due to severe occurrence of diseases and black root rot in 2009 and bacterial pustule for 2009~2011. This result indicates that optimum seeding date of soybean for soy sauce and tofu was shown to be late May~early June in Kyungnam region.


soybean , seeding date

경남지역에 있어 장류콩(선유콩,대원콩)의 적정파종시기

신 상욱†, 김 현태, 한 원영, 이 병원, 박 현진, 고 종민, 백 인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근래들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이 한반도에 서도 발생하고 있다. 잦은 강우나 가뭄 또는 초가을까지도 고 온이 지속되는 등 우리나라의 콩 재배환경이 바뀌어 지고 있 다. 농가에서는 기존의 파종시기보다 시기를 늦추어 파종하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는 전작물을 재배하고 난후 7월 상순까지 파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에 설정한 적정파종시 기가 잘 지켜지지 않고 농가에서는 자의적으로 파종이 이뤄지 고 있다. 일반적으로 콩 파종시기가 이르면 과도한 생육으로 착협수가 감소하고 도복이 발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포기 간이 늘어 남으로 병충해의 피해를 받기 용이한 등 증수에 불 리하다. 반면에 파종시기가 적정파종기 보다 늦어지면 짧은 기 간에 생육이 이뤄지므로 생육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수 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기는데 특히 후기기상이 수량성을 좌 우하는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장류콩 의 안정적 재배를 위한 파종시기를 재설정 하기 위하여 경남 지역의 파종시기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밀양의 국립식량과 학원 기능성작물부 전작포장 실시하였다. 시험품종으로는 준조 생 품종인 선유콩과 중만생 품종인 대원콩을 공시하였고, 파종 시기는 5월 10일(1차파종), 5월 25일(2차파종), 6월 10일(3차파 종) 및 6월 25일(4차파종) 4시기를 두었는데 ‘09년도에는 1차 파종은 5월 11일, 2차 파종은 5월 25일, 3차 파종은 6월 9일, 그리고 4차 파종은 6월 26일날 이뤄졌고, ’10년도에는 1차 파 종은 5월 10일, 2차 파종은 5월 25일, 3차 파종은 6월 9일, 그리고 4차 파종은 6월 25일, ‘11년도에는 1차 파종은 5월 9 일, 2차 파종은 5월 25일, 3차 파종은 6월 9일,그리고 4차 파 종은 6월 22일에 이뤄졌다. 재식거리는 70 × 15 cm로 하여 1 주 2본 재배를 하였고, 시비량은 10 a당 성분량으로 질소 3 kg, 인산 3 kg 및 가리를 3.4 kg을 전량 기비로 시비하였는 데 질소는 요소, 인산은 용성인비 그리고 가리는 염화가리로 하였다. 그리고 시험구배치는 분할구배치 3반복으로 하였고 얻 어진 결과의 통계처리는 SAS 9.2(SAS Institute Inc, USA ) 로 분석하였다.

    건물중 조사는 R2 및 R5 stage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구당 평균되는 2주 4개체를 채취하여 엽, 엽병, 줄기 및 협으 로 분리한 다음 엽면적을 측정하였고 dry oven의 70°C에서 건조시킨 다음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성숙기에 생육특성과 수 량은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농진청, 2004)에 따 랐다.

    단백질 함량분석에 있어서 먼저 분석에 사용된 콩 시료는 고속 진동 분쇄기 (HEICO, LT1-100, Japan)로 미세 균일 입 도로 분쇄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함량분석은 근적외선 분광기(Near-infrared spectroscopy: Foss NIR System Inc., Silver Spring, MD)를 사용하였으며, 분쇄 시료 약 2 g을 표 준 원형 컵에 취하여 400 - 2500 nm 파장 영역에서 2 nm 간 격으로 반사율(log 1/R)을 측정하였다. 분석 전 NIR 기기를 충분히 예열 시켜 사용하여 기기 안정성과 파장 정확도를 높 였다. 분석된 결과는 WinISI II software (Windows version 1.60, Foss and Infrasoft International LLC, State College, PA)를 사용하여 기존 단백질 equation에 적용하여 함량을 구 하였다.

    지방함량 분석은 먼저 분쇄한 시료 2.0 g을 자동지방 추출 장치(Soxhlet System: BUCHI Labotechnik, B-811, AG., Switzerland)에 넣고 n-hexane으로 3시간 열수 추출한 후 지방 함량을 구하였다. 그리고 지방산 조성 분석을 위해서 추출된 지방에 지방산 분해시약 (H2SO4:MeOH:Toluene = 1:20:10, v/v) 5ml 첨가하여 100°C에서 1시간 반응 시켜 fatty acid methyl ester형태로 변환하였다. Fatty acid methyl ester 분획은 증류 수 5 ml 첨가하여 잘 혼합 한 후 상등액을 취하였으며 시료 중 수분은 Na2SO4 (Yakuri Pure Chemical Co LTD., Osaka, Japan)로 제거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가 스 크로마토그래피 (Agilent 7890A, USA)로 분석하였으며 분 석을 위한 기기 조건은 아래 Table 1과 같다.

    GC 분석의 표준물질인 palmitic acid methyl ester, stearic acid methyl ester, ole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및 linolenic acid methyl ester는 Sigma 사에서 구입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Isoflavone 성분 분석을 위해 분쇄한 시료 1.0 g을 50% methanol 용액 20 mL에 12시간 실온에서 교반한 뒤 추출액을 여과 (Whatman No.2)하였다. 이렇게 여과된 시료는 다시 HPLC 분석을 위해 0.45 μm 필터를 하였다. Isoflavone 분석 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Agilent 1100, USA)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기기 조건은 아래 Table 2와 같다.

    Isoflavones 정량 분석을 위한 표준물질 검량선식은 아래 Table 3과 같다.

    결과 및 고찰

    1기상특성

    Fig. 1에서 보면 2009년도 밀양 기상의 특징은 6월 하순부 터 7월 하순까지 편중된 강우량을 빠른 파종시기에는 가뭄으 로 초기에 생육이 저조하고 콩의 립비대기인 8월 하순부터 한 발의 발생을 초래한 반면 일조시수가 많고 기온이 높아 토양 수분이 부족하지 않으면 콩 성숙에 유리한 환경이었다. 2010 년도에는 전 생육기간을 통해 잦은 강우량을 보여 토양수분의 부족을 초래하지 않았고 평균기온은 전 생육기간에 걸쳐 높게 경과하였으며 일조시수는 립비대시기인 8월 중순에서 9월 상 순까지는 평년에 비해 부족하게 경과하였다. 2011년도에는 평 균기온이 7월 상순까지는 평년보다 높게 경과하였으나 이후에 는 대체로 낮게 경과하였고, 7월하순에서 9월상순까지 평년보 다 일조가 많이 부족하였으며 강우량은 6월하순에서 8월중순 까지 연속된 강우로 생육 억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2생육 및 수량특성

    Table 4은 파종기에 따른 콩 품종들의 생육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잎의 전개 및 생식생장기의 주요생육단계의 도달에 소 요되는 기간은 두 품종 모두 파종기가 빠를수록 길어졌다. 콩 의 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도와 일장이며 대개 조생 종은 감온성이 크고 만생종은 감광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 고, 조생종은 만생종에 비해 덜 민감하다는 Criswell & Hume(1972)의 보고와 조생종은 콩 자원은 일장에 반응하지 않는 품종이 있다는 Yoshida(1952) 보고와 같이 이 시험에서 도 개화에 도달하는 기간 역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짧아졌다. 그러나 감온성과 감광성이 혼합된 개화도달일수에 관한 연구 는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품종별 파종시기의 이 동에 따른 개화기 및 성숙기의 단축일수를 보면 역시 감광성 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생종에 가까울수록 개화일수의 단축정 도가 컷고 이에 따른 성숙일수의 단축정도도 개화일수 단축 경향과 비슷하였다.

    일반적으로 생육기간이 긴 것이 수량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데 Boquet et al. (1983)은 영양생장기간, 생식생장 기간 그리고 생육기간은 파종기와 품종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다고 하였고 개화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늦은봄이나 초가 을의 낮은 기온과 관련이 있다고 Garner & Allard(1930)는 보고하였다.

    Table 5는 콩의 영양생장기에서 생식생장기로의 전환점인 개 화기(R2)와 콩의 종실이 채워지기 시작하는 립비대시(R5)의 단위면적당 건물중, 엽면적 지수 그리고 Sink/Source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은 생식생장기 동안 건물생산을 하는데 필요한 Source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종시기간 비교는 향후 수 량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콩 수량은 협수 와 관련이 있고 협수는 생식생장기의 초기의 건물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Park et al.(2000)은 보고하였다. R5 stage에 선유콩은 6월 10일 파종에서 단위면적당 건물중이 가장 많았 고 엽면적지수는 전 파종시기에서 최적엽면적지수라 할 수 있 는 5 ~ 7(Park & Son,1987)범위에 포함되었다. R5 stage에 대원콩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건물중이 많았고 엽면적지수가 6월 25일 파종에서 5이하로 최적엽면적지수 에 미치지 못하였 는데, 여기서 조기파종의 경우 과도한 생장은 오히려 협수를 감소시켜 sink와 source의 불균형을 가져와 수량의 감소로 이 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됨으로 해석상 유의해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Table 2에서 콩의 기관별 건물분포 비율과 sink/source 비율을 보면, 일반적으로 엽의 비율이 높으면 건물생산에 유 리하다고 할 수 있으나 과도한 엽중은 상대적으로 호흡량이 많기 때문에 최적엽면적지수 범위에서 엽에 대한 협의 비율이 높으면서 sink 와 source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sink/ source이 비율은 선유콩과 대원콩 모두 5월 25일 파종에서 가 장 낮고 이후 파종시기에서는 높았는데 안정적 건물생산을 위 해 기상조건의 수반이 중요하며 극단적으로 낮거나 높은 비율 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6은 시험기간 중 포장에서 병충해 발병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3년 동안 꾸준히 포장에서 주로 발생한 병은 불마름 병으로 그중 주로 대원콩의 6월 10일 파종에서 많이 발생하 였는데 파종후 잎이 연약한 시기에 장마기 와 장마이후 연속 된 강우와 고온 조건이 그 원인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검은 뿌리썩음병은 ‘09년도에 심하게 발생하여 수량감소에 큰 영향 을 미쳤는데 5월 10일, 5월 25일 및 6월 10일 파종시기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콩의 검은뿌리썩음병원균은 오랜 장마와 낮은 온도의 경과 시 번식이 왕성하며 이병되면 양분과 수분통로가 차단됨으로 꼬투리를 맺지 못하고 꼬투리가 열린다 해도 100립중이 감소 된다고 하였다(Sung & Chung, 1983)

    Table 7에서 콩의 성숙기 생육특성을 보면, 두 품종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경장은 짧고 주경의 마디수는 적었으 며 개체당 협수는 선유콩에서는 6월 25일 > 5월 25일 > 5월 10일 > 6월 10일 순으로 적었고 대원콩은 파종시기가 늦을수 록 적었는데 개체당립수도 협수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100립 중은 선유콩은 5월 25일 파종에서 그리고 대원콩은 6월 10일 파종에서 가장 무거웠다. 수량에 있었어는 파종기간 유의한 차 이는 없었지만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대원콩은 수 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가장 많았고 나머지 파종 기간에는 비슷하였는데 6월 10일 파종에서 수량성이 낮았던 원인은 시험 첫해년도인 ‘09년 검은 뿌리썩음병의 많은 발생 이 크게 영향을 미쳤던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장도복 은 선유콩의 경우 파종시기간에 큰 차이이 없이 비슷하였으며 대원콩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도복이 많이 되었다.

    Table 8는 종실의 외관품질를 비교한 것으로 주로 종실의 열피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선유콩의 경우 열피율은 0.6 ~ 5.1%로 파종기가 진전될수록 낮았고 대원콩은 열피율 발 생이 미미하였다.

    경남지역에서 이상의 건물중 및 엽면적지수, 100립중, 도복, 종실 열피립의 피해 감소 및 수량성을 고려 할 때 장류콩(선 유콩 및 대원콩)의 적정파종시기는 5월 하순 ~ 6월상순이었다. Seong & Kim(1989)은 밀양에서 이모작으로 파종할 수 있는 6월10일 보다 빨리 파종할수록 증수가 이뤄진다고 하였고, 김 등(1987)이 밀양에서 실시한 시험에서 6월10일 이전에 파종한 것이 수량이 높았다고 하였는데 본시험에서는 5월하순이후부 터 6월상순까지가 적정파종기였다.

    생장온도가 종실내 단백질과 지방함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Wolf et al.(1982)은 보고하였고 또 Carter et al.(1986)은 생 육온도가 낮을수록 단백질 함량은 높아지고 지방함량은 감소 한다고 보고를 하였다. Table 9에서 단백질 함량을 품종별 파 종시기간을 비교해 보면, 선유 및 대원콩에서는 5월 25일 파 종이후로 갈수록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파종시기가 진전 될수록 립비대기에 낮은 온도를 경과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아 지리라는 예상과는 차이를 보여서 본 시험에서 설정한 파종시 기에 온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생 각된다.

    3품질특성

    Table 10에서 지방함량은 품종들 모두 파종기간에 비슷하며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고 지방산에 있어 C18 : 1은 5월 25일을 최고치로 이후 파종시기로 갈수록 감소 경향을 보였고 C18 : 3 은 5월 25일 파종시기를 최저치로 이후 파종기로 갈수록 증 가를 보여 C18 : 1의 함량과 상반된 경향을 보였는데 일중의 높은 온도는 종실의 C18 : 3 함량을 감소시키고 C18 : 1의 함 량을 증가시킨다고 한 Howell & Collins(1957)Wolf et al.(1982)보고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아이소플라본의 함량은 파 종기가 늦을수록 함량이 많았는데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을수 록 함량이 높다. Table 11에서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공시 품 종들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증가되었는데, 이는 등숙기의 온 도가 낮을수록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다고 보고 (Tsukamoto et al, 1995 ; Ubi et al., 2006)한 내용과 일치 하였다.

    적 요

    우리나라의 경남지역에서 장류콩의 적정파종시기를 구명하 고자 본 시험에서 중간생육,성숙기 생육, 수량성, 포장병발생 정도 및 성분분석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잎의 전개 및 생식생장기의 주요생육단계의 도달에 소요 되는 기간은 두 품종 모두 파종기가 빠를수록 길어졌다

    2. R5 stage에 있어서 선유콩은 6월 10일 파종에서 단위면 적당 건물중이 가장 많았고 전 파종시기에서 최적엽면적지수 의 범위에 포함되었으며, 대원콩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건물 중이 많았고 엽면적지수가 6월 25일 파종을 제외하고는 최적 엽면적지수 에 미쳤다. Sink/Source이 비율은 선유콩과 대원콩 모두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낮아 엽이 부담하는 협의 비율 이 가장 적었다.

    3. 선유콩의 수량성은 파종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대원콩의 수량성은 수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가장 많았고 나머지 파종기간에는 비 슷하였는데 6월 10일 파종에서 ‘09년 검은 뿌리썩음병의 많은 발생과 3년간 불마름의 발생이 수량성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 쳤다.

    4. 파종시기 간에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고, 지방산에 있어서 Oleic acid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Linolenic acid 는 파종기를 늦을수록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았다.

    5. 경남지역에서 이상의 건물중 및 엽면적지수, 100립중, 도 복종실 열피립의 피해 감소 및 수량성을 고려 할 때 장류콩 (선유콩 및 대원콩)의 적정파종시기는 5월 하순 ~ 6월 상순이 었다.

    Figure

    KSIA-26-127_F1.gif

    Weather fluctuation in soybean cultivation period

    Table

    Analysis conditions for fatty acid

    Analysis conditions for isoflavones

    Calibration curves of the 12 individual isoflavones standards

    Days to growth stages with different seeding date.

    Comparision of dry matter weight, leaf area index and sink/source ratio as affected by seeding date.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p<0.05) in each variety

    Occurrence degree of disease insect pest in the field during soybean cultivation.

    *Infected leaf area of bacterial pustule: 1 : under 1%, 3 : 1~10%, 5 : 11~30%, 7 : 31~50%, 9 : above 51%
    **Infected plant ratio of black root rot : 1 : below 1%, 3 : 2~10%, 5 : 11~20%, 7 : 21~40%, 9 : above 41%

    Yield components and yield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Lodging degee : 1 : below 5%, 3 : 6~10%, 5 : 11~50%, 7 : 51~75%, 9 : above 76%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p<0.05) in each variety

    Comparision of apparent seed quality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Comparison of protein content in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eeding date.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cotent in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Comparison of isoflavone content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Unit : μg/g).

    Reference

    1. Boquet D.J , Koonce K.L , Walker D.M (1983) Row spacing and planting date effect on the yield and growth responses of soybean , Lousiana Agric Exp. stn. Bull, Vol.754;
    2. Criswell J.G , Hume D.J (1972) Variation in senitivity to photoperiod amomg early maturing soybean strains , Crop Sci, Vol.12 ; pp.657-660
    3. Carter T.E Jr, Burton J.W , Brim C.A (1986) Registration of NC101 to NC112 soybean gerplasm lines cotrasting in percent seed protein , Crop Sci, Vol.26; pp.841-842
    4. Garner W.W , Allard H.A (1930) Photoperiodic response of soybeans in relation to temperature and other enviromental factors , Jour. Agric. Res, Vol.41 (10) ; pp.719-735
    5. Howell R.W , Collins R.F (1957) Factors affecting linolenic and linoleic acid content of soybean oil , Agron. J, Vol.49; pp.593-597
    6. Kim Y.C , Shin D.C , Park C.K (1987) Experiment and Research Report ,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pp.220-221
    7. Park S.J , Kim W.H , Seong R.C (2000) Influences of different planting times on harvest index and yield determination factor in soybean , Korean J. Crop Sci, Vol.45 (2) ; pp.97-102
    8. Park Y.K , Son S.Y (1987) Relative importance of yield determining factors in relation to source-sink in soybean , Res. Rept. RDA(Agri. Institutional Cooperation), pp.263-281
    9.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2004) Investigating basis of agricultural experiment and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10. Seong D.K , Kim Y.C (1989) Experiment and Research Report ,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pp.224-227
    11. Sung J.M , Chung K.W (1983) Yield loss associated with disease severity of soybean black root rot by Cylindrocladium crotalariae , Kor. J. Mycol, Vol.11 (20) ; pp.99-101
    12. Tsukamoto C , Shimada S , Igita K , Kudou S , Kokubun M , Okubo K , Kitamura K (1995) Factor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 Changes in isoflavones, saponinesm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seed development , J. Agric. Food Chem, Vol.43; pp.1184-1192
    13. Ubi B.E , Honda C , Besso H , Kondo S , Wada M , Kobayashi S , Moriguchi T (2006) Expression analysis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 in apple skin : Effect of UV-B and temperature , Plant Science, Vol.170; pp.571-578
    14. Wolf R.B , Cavins J.F , Kleiman R , Black L.T (1982)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nd sugars , J. Am. Oil Chem. Soc, Vol.59; pp.230-232
    15. Yoshida S (1952) Photoperidic respomses in soybean plants under long-day conditions with supplemental illumination of different intensities at night , Proc. Crop Sci. Soc. Jap, Vol.21; pp.127-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