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지중해 지역에서 유래되었 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꽃잎을 ‘홍화’, 씨를 ‘홍 화자’로 하여 생약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꽃잎보다 잇 꽃씨의 이용이 많은 편이다. 꽃에는 수용성의 황색색소인 safflower yellow와 불용성의 적색색소인 carthamin 등이 함유되 어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는 등 한방에서는 어혈을 푸는 약재로 널리 이용했다(Lee & Choi, 1998).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종은 C. tinctorius이며 야생종으로는 C. persicus (syn. C. lavescens), C. lanatus, C. oxyacanthus, C. palaestinus가 있고, 이들은 다양 한 병충해의 저항성이나 내성을 가지고 있는 자원으로 알려져 있 다(Kumar & Agrawal,1989; Dajue & Mündel, 1996).
잇꽃씨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 로 알려져 있으나, oleic acid 함량이 높은 자원들도 보고되고 있 다(Knowles,1965). Linoleic acid 같은 다중불포화지방은 혈액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oleic acid 같은 단순불포화지 방은 혈액의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C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C만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 다(Choi et al., 2011). 국산 잇꽃씨에도 불포화지방산이 9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중 linoleic acid 함량이 높은 편 이다(Sung et al., 2011; Yu et al., 2013). 씨의 기름함량과 조성은 파종시기, 토양수분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Coşge et al., 2007; Ashrafi & Razmjoo, 2010). 잇꽃 기름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고, 고혈 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의 순환기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 며, 이러한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은 serotonin, lignin 및 flavonoid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로 보고되고 있다(Kang, 2001). 폴리페놀 화합물은 flavonoids, anthocyanins, tannins, catechins, isoflavones, lignans, resveratrols 등을 총칭하며 식 물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폴리페놀에 존재하는 다수의 히 드록실기가 여러 화합물들과 쉽게 결합하여 생체 내에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노화 억제, 심장혈 관계 질환 예방 및 지연시키며, 항암, 항염 등의 효능을 가진 다(Urquiaga & Leighton, 2000; Lu & Foo, 2000; Kalt, 2005; Kim et al., 2007).
잇꽃씨 오일은 식용이나 약용 뿐 아니라 화장품 원료로 이 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오일의 항산화능에 대한 연구결과도 다 수 보고되어 있다(Zhang et. al., 1996; Espin et al., 2000; Prescha et al., 2014). 최근에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 소재의 발굴을 위해 각종 생약 과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Cai, 2006). 일반적인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총페놀 측 정법,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소거능 측정 등 다수의 방법이 보고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들 중, 대상 물질에 존재하는 모든 가능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인 총 항산화능 측정방법으로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arameter (TRAP)등이 알려져 있다(Suh et al., 2013).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으로부터 수집한 잇꽃 128자원을 대상으로, 지방조성과 항 산화 효능평가를 통하여 수집지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수집자원들 중 기능적으로 유용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집된 잇꽃 128자원은 2014 년 농업유전자원센터 시험포장에서 농촌진흥청의 작물표준재 배법에 따라 증식하여 신선한 종자를 확보하였다. 재식거리는 30 × 20 cm였으며 자원간 거리는 1m를 유지하였다.
잇꽃씨의 조지방 추출을 위하여 SoxtecTM 2043 (FOSS, Denmark)을 사용하였으며 추출용매는 헥산(Fisher)을 이용하 였다. Gas chromatography(GC, Agilent 7890A, USA)를 이 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Silica capillary 컬럼(HPINNOWAX, 30 m × 0.32 mm × 0.25 μm)을 이용하여, 주입부 온도는 200°C, flame ionization detector (Agilent, USA) 검 출기는 250°C에서 사용하였다. 오븐온도는 100°C에서 1분간 유지한 후, 분당 8°C씩 250°C까지 상승시키고 250°C에서 10 분간 유지하여 각각의 머무름 시간을 확인하고 각 peak의 면 적을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냈다.
씨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에 사용된 1,1-diphenyl-2- picryl-hydrazil (DPPH), L-ascorbic aci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 6-sulphonic acid) (ABTS), 6-hydroxy-2,5,7,8- 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 (Trolox), Folin–Ciocalteu reagent, gallic acid 는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항산화 활성실험을 위한 75% 에탄올 잇꽃씨 추출물은 ASE 200 (Dionex, US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Genevac HT- 4X (Ipswich, UK)를 이용해 농축처리하였다.
잇꽃씨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방법은 전보와 같다(Sung et al., 2015).
모든 실험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통계 처리를 위하여 R 프로그램(http://www.r-project.org)과 SPSS를 이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남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수집된 잇꽃 128자원의 조지방 및 지방산 조성의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전체자원의 조지방은 15.8 ~ 32.2%의 함량을 보였다. 남아시아 수집자원의 평균 조지방 함량은 23.2%였으며, 15.8 ~ 32.2%의 분포를 보 였다. 아프리카 수집자원은 평균 21.3%였으며, 17.6 ~ 26.8%로 분포하였다. 남아시아자원의 75.0%와 아프리카자원의 46.4% 가 조지방 함량 20 ~ 25%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이상 조지방을 함유하는 자원은 남아시아자원 중 18.0%를 차 지하는 반면 아프리카자원에서는 14.3%를 차지하였다. 이는 이란 수집자원의 조지방 함량보다 낮았으며(Sabzalian et al., 2008), Yu et al. (2013)이 보고한 국산 잇꽃씨의 조지방 함량 이 13.6%라고 한 것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아프리카자원의 평균 조지방 함량은 Park (2003)의 서울수집종 조지방 함량과 유사했으며, 남아시아자원의 최대값을 가지는 자원은 나주종 과 유사하였다. 남아시아 수집자원의 조지방 함량은 아프리카 수집자원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었다(Table 2와 Fig. 1).
잇꽃씨의 주요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C16:0) 와 stearic acid (C18:0),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C18:1), linoleic acid (C18:2)와 linolenic acid (C18:3)로 구성되어 있 으며, 전체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6.7 ~ 10.6%를 함유하였으 며, 불포화지방산은 89.4 ~ 93.3%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아시아 수집자원은 불포화지방산이 평균 91.8%로 높았으 며 이중 linoleic acid 함량이 평균 70.9%로 높았고, oleric acid는 19.9%, linolenic acid는 1.0%였다. Linoleic acid는 15.5 ~ 79.9%로 함량의 변이가 컸으며, oleic acid의 경우, 평 균 19.90%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75.7%의 고함유 자원을 포함하고 있었다. Oleic acid 고함유 자원들은 Knowles (1965) 및 Fernάndez-Martinez et al. (1993)가 보 고한 파키스탄 수집종들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자원으로 사료 된다. 아프리카 수집자원의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평균 91.3% 로 남아시아 자원들과 유사하게 높았으며, 이중 linoleic acid 는 53.5 ~ 80.4%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 75.4%였다. Oleic acid 함량은 10.6 ~ 38.0%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평균 14.8%였 다(Table 2). 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수집자원의 불포화지방산 및 linoleic acid의 평균 함량은 국산 잇꽃씨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남아시아자원 중 K184652, K184658, K184662, K184671, K185831, K185832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함으로서 혈행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Heo et al., 2012) oleic cid 함량이 60%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혈액순환과 관련된 기능성성분 연구의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본다.
수집된 잇꽃씨의 항산화 효능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Table 1 의 결과를 얻었다. 남아시아 수집자원에 대한 DPPH 라디컬 소 거능을 평가한 결과, 평균 3.40 ± 1.77 μg ASC mg-1의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최저 0.8±0.28 μg ASC mg-1에서 최고 7.6±0.06 μg ASCmg−1의 범위로 활성을 보였다. 아프리카 수집 자원의 평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3.0 ± 0.99 μg ASC mg−1 이었으며, 최저 1.3 ± 0.18 μg ASCmg−1에서 최고 5.3 ± 0.15 μg ASCmg−1의 활성을 보였다. 남아시아 수집자원 중 DPPH 라디 컬 소거능이 2 μg ASC mg-1이하인 자원은 전체의 30%, 2 ~ 4μg ASCmg−1의 자원은 35%, 4 ~ 6μg ASCmg−1의 자원이 21%, 6 μg ASC mg-1이상은 14%였다. 소거능이 높은 자원은 K184530을 포함한 인도 재배종 14자원이었다. 아프리카 자원 중에는 소거능이 6 μg ASCmg−1이상의 자원은 없었다. 2 μg ASC mg−1이하인 자원 10.7%, 2 ~ 4 μg ASC mg−1인 자원 78.6%, 4 ~ 6 μg ASC mg-1의 자원이 10.7%였다. 아프리카 수집자원은 남아시아 수집자원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소거 능을 가진 자원들이었다(Fig. 2).
남아시아 수집자원의 ABTS 활성은 평균 57.4±20.62 μg Trolox mg-1였으며, 23.2 ± 1.72 μg Trolox mg−1에서 134.7 ± 1.25 μg Trolox mg-1의 넓은 범위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자원 에서는 평균 55.7 ± 10.82 μg Trolox mg−1였으며, 28.2 ± 1.51 μg Trolox mg−1에서 83.0 ± 0.72 μg Trolox mg−1의 범위로 나타났다. 남아시아 자원들 중 ABTS 양이온 소거능이 100 μg Trolox mg−1이상 자원은 2%였으며, 20 ~ 40 μg Trolox mg−1 22%, 40 ~ 60 μg Trolox mg−1 35%, 60 ~ 80 μg Trolox mg−1 29%, 80 ~ 100 μg Trolox mg−1인 자원은 12%였다. 아프리카 수집자원 중, 64.3%가 40 ~ 60 μg Trolox mg-1의 소거능을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8.6%가 60 ~ 80 μg Trolox mg−1의 소거능을 가지고 있었고, 20 ~ 40 μg Trolox mg−1 및 80 μg Trolox mg−1이상인 자원은 각각 전체의 3.6%였다. 남아시아 자원의 64%와 아프리카 자원의 92.9%가 ABTS 양이온 소거 능에서 40 ~ 80 μg Trolox mg−1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Fig. 3).
남아시아 수집자원의 총 Polyphenol 함량은 5.1 ± 0.17 μg GAE mg−1에서 52.0 ± 1.24 μg GAE mg−1의 범위로 분포하였 으며 평균 22.2 ± 10.15 μg GAE mg−1이었다. 아프리카 수집자 원의 총 Polyphenol 함량은 11.7 ± 0.20 μg GAE mg−1에서 33.3 ± 0.37 μg GAE mg−1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 20.7 ± 6.20 μg GAE mg−1였다. 30 μg GAE mg−1이상의 총폴리페 놀 함량을 가지는 자원은 남아시아 수집자원의 23% 및 아프 리카 수집자원의 3%로 차지하며 낮은 비율을 보였다. 10 ~ 30 μg GAE mg−1의 함량을 가지는 자원은 남아시아 67%, 아프리카 89.3%로 다수의 자원을 포함하였다(Fig. 4).
잇꽃씨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N-feruloylserotonin이며, 이는 기존 항산화제로 알려진 α-tocopherol, BHA 및 BHT와 비교 했을 때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eg et al., 1999; Song et al., 2000). 또한, 수용성 추출물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0). 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수집 잇꽃자원의 항산화 효능은 사우디아라비아반도 북부지역에서 수집한 자원들에 비해 대체 적으로 낮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였다(Sung et al., 2015).
DPPH 라디컬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총폴리페놀 함량의 평균값에 있어서 수집지역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 (Table 3). 수집 잇꽃자원의 지방성분 및 씨추추물의 항산화능 평가에서 조사항목별 상호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 와 같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ABTS 활성(0.862**) 및 총 polyphenol 함량(0.864**)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 였으며, 이는 Pasko et al. (2009) 및 Sung et al. (2015)과 유사한 결과였다. Linoleic acid는 oleic acid (−0.998**)와 강 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tearic acid (−0.275**) 및 linolenic acid (−0.297**)와도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DPPH 항산화 활성은 Oleic acid (0.222*) 및 linolenic acid (0.297**)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linolenic acid는 ABTS 활성(0.234**) 및 총polyphenol 함량 (0.255**)과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두 지역의 수집 자원간의 변이값을 이용한 주성 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에서 제1주성분(PC1)은 변이의 36%를 해석할 수 있었으며, DPPH 소거능, 총 polyphenol 함량, ABTS 활성 및 oleic acid의 기여도가 높았 다. 제1 ~ 4주성분들로서 전체 변이의 85%를 해석할 수 있었 다(Fig. 5, Table 5).
적 요
남아시아 및 아프리카로부터 수집된 잇꽃 128자원의 지방조 성과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천연 항산화소재 연구의 유용한 정 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1. 수집된 잇꽃자원의 조지방은 15.8 ~ 32.2%로 함유하였으 며, 이중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89.4 ~ 93.3%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는 15.5 ~ 80.4%를 함유하고 있었다. 남아시아 수 집자원 중, K184652, K184658, K184662, K184671, K185831 및 K185832는 oleic acid함량이 60%이상인 자원들로 혈액순 환 관련 기능성연구 재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2. DPPH 소거능은 0.76 ± 0.28 μg ASCmg−1에서 7.64 ± 0.06 μg ASC mg−1의 범위로 활성을 보였다. ABTS 활성은 23.21 ± 1.72 μg Trolox mg−1에서 134.72 ± 1.25 μg Trolox mg−1의 넓은 범위로 나타났다. 총 Polyphenol 함량은 5.06 ± 0.17 μg GAEmg−1에서 51.99 ± 1.24 μg GAE mg−1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
3. 조지방 함량은 남아시아 수집자원이 높았으나, 지방산 조 성과 DPPH,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총 polyphenol 함량평 가에 의한 항산화 활성비교에서는 두 지역간 차이는 거의 없 었다.
-
4. DPPH 라디컬 소거능은 ABTS 활성 (r = 0.862**) 및 총 polyphenol 함량(r = 0.864**)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P≤ 0.01) 를 보였고, linoleic acid는 oleic acid (r=-0.998**)와 강한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한 결과, 제1 ~ 4주성분들로서 전체 변이의 85%를 해 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