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2 pp.135-14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2.135

Comparison of Shelf Life in Major Myanmar Fruit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Narae Han*, Haeyeong Na**†
*Division of Forest Special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 16631,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1-450-2371 (E-mail) somerze@mokpo.ac.kr
May 27, 2020 June 2, 2020 June 5, 202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fruit quality on Myanmar fruits, dragon fruit, mangosteen, papaya, and pineapple,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10°C, and 4°C. Marketability of dragon fruit, mangosteen, papaya, and pineapple stored at room temperature was sharply decreased to 44.5%, 12.0%, 28.5%, and 90.0%, respectively, after 1 week storage due to rapid weight loss and decay. However, fruits weight loss in cold storage was less than 20%, regardless of the fruits. Furthermore, cold storage at 10°C effectively delayed the incidence of decay, thus, dragon fruit, papaya, and pineapple fruits were still considered marketable after 4 to 5 weeks in cold storage.



미얀마 주요 과실의 저장온도에 따른 선도유지 기간 비교

한 나래*, 나 해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서 언

    미얀마연방공화국(The Union Myanmar; 미얀마)은 인도 차이나 반도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태국과 라 오스, 서쪽으로는 인도와 방글라데시, 그리고 북쪽으로는 중국 윈난성과 접해있다(Yim, 2011). 미얀마는 아직 세계 최빈개도 국 중 하나이지만,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국가이며, 특 히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발전 잠재력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Jung & Kim, 2009). 미얀마의 연평균 기온은 약 27.1°C, 연간 강수량은 약 728~5,825 mm 수준이며, 건기(2월 말~5월 중순)와 우기(5월 하순~10월 말)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미얀마의 농지면적은 우리나라의 17배에 달하며, 열대, 아열대, 그리고 온대성 기후 특성을 보여 최적의 농업 환경을 제공한 다(Yim, 2011). 전체 경작 면적 중 곡물, 유지작물, 그리고 땅콩과 콩류가 전체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으며, 쌀이 농 업생산물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2;Yim, 2011;Myanmar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 2014).

    미얀마는 농업 생산적 측면에서 베트남이나 태국 등과 같은 주변국에 비해 기후·지리적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관계시설 부족, 물류·저장·이동시설 부족, 전력 공급의 불 안전성, 농업 전문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농업경쟁력이 저하 되고 있다. 특히 수확후 관리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저장성이 약한 과일 및 채소는 재배 현지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양곤을 비롯한 대도시의 과실은 과실의 수확후 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선진국으로부터 수입해서 공급하는 실정이다(Yim, 2011). 따라 서 미얀마에서 재배되고 있는 아열대작물들은 고온 환경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생리적 변화에 적합한 수확후 관리기술의 적 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미얀마의 로컬마켓에서는 저온 저장시설이 도입되지 않아 대부분의 과실들이 평균 30°C 내외 의 높은 온도에서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미얀마의 열악한 저 장시설 및 장비, 전문 인력의 부족, 그리고 부적절한 유통체계 로 인해 수확한 작물들은 상품성과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미얀마 정부는 선진국, 국제기구, 민관협업 등의 다양한 협력 방식을 통해 농 업개발을 위한 농업개발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농촌개발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미얀마 농업과 국제협력 을 추진하고 있으며, 목포대학교는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코이카)을 통해 미얀마 예 진대학교와 전문 농업 지도자 양성 및 재배기술·농업시설 지 원을 위한 개발협력사업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미얀마의 농 업생산물 재배 및 수확의 전 과정에 필요한 기술의 이론·실습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생산된 고품질 농산물의 선도유지를 위한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확후 시스템 운영·관리 교육 에 실증 실험을 도입하였으며 수확후 기술의 필요성을 증명하 는 시도를 하였다.

    특히 온도와 습도가 가장 높은 미얀마의 우기(7월)에는 과 일 유통 기간이 가장 짧아지는데, 이 기간에 가장 많이 생산· 유통되는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의 수확후 관리기 술 확립을 통한 유통기간의 확대는 미얀마 농업에 필요한 기 술로 사료된다. 따라서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을 재 료로 하여 우기에 유통기간을 연장하는 실험을 교육을 통해 실시하고자 하였다. 저장시스템이 전혀 갖추어지지 않은 미얀 마 예진대학교에 미얀마의 수확 후 관리기술 교육 및 개발을 위해 목포대학교에서는 2평의 저온저장 시설을 2개를 지원하 였으며, 그 2개의 저장고를 이용하여 2가지 저온 온도를 설정 하여 선도유지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얀마에서 생산된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을 4°C, 10°C 저온저장고에서 저장 할 때 품질 변화 를 상온 저장과 비교하여 미얀마의 수확후 관리기술 연구 필 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4년 7월 미얀마 예진대학교 원예학과 농장에 서 수행하였다. 시험 품목으로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 플을 사용하였으며, 과실은 예진대학교 인근 로컬 마켓에서 구 입하였다. 구입한 과실들은 표면에 부패나 상처 여부를 육안 으로 선별한 후 각각 10개씩 플라스틱 상자(가로×세로×높이 : 720×470×320 mm)에 밀폐하지 않고 담았다. 플라스틱 상자에 담은 과실들은 저장온도가 다른 두 개의 2평 소형 저장고에 각각 입고하였다. 열대작물의 최적 저장온도는 품목별로 상이 하지만 대부분이 8~12°C 범위로, 본 실험에서는 10°C를 저장 온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저온 유통을 하는 마켓에서 신선 원 예산물을 판매할 때 설정하는 온도인 4°C를 처리구로 설정하 였다. 저온저장고에 저장된 과실을 상온유통 과실과 비교하기 위해 미얀마의 상온 유통 온도인 30°C에 저장하면서 상품성 을 비교하였다. 상온 저장 처리구의 과실들은 예진대학교 원 예학과 연구실에 보관하였다.

    과실을 상자에 담기 전에 각각의 과실에 번호를 부여하고 과중, pH, 상품성을 측정하였다. pH는 휴대용 산도계(Eutech pH 450, Thermo Scientific)로 과즙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저장 중 각 품목별로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중량감소율은 저 장 전 무게 감소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저장 중 상품성 조 사는 과육에 부패 증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과육전체 면적 대비 부패된 면적을 백분율로 측정하였다. 과실은 8주 동안 1 주 간격으로 저장 온도별로 꺼내서 과실품질을 조사하였으며, 모든 시험 처리는 처리구당 10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는 SPSS 통계 분석(SPSS version 18)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하였고, 평균간 유의차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및 Student’s ttest로 95% 수준에서 수행분석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상온 저장 1주 후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의 중량 은 저장 초기 275.3, 79.0, 1510.0, 1790.0 g에서 각각 20.0, 22.8, 18.4, 10.0% 감소하였다(Table 1). 용과, 망고스틴, 파인 애플의 pH는 3.96~4.00 사이로 과실 간 통계적 차이가 없었 으나, 파인애플은 다른 과실에 비해 pH가 높았다. 상온 저장 중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의 상품성은 저장 1주 만 에 각각 55.5%, 87.0%, 71.5%, 10.0% 감소하였으며, 저장 2 주에는 모든 과실이 완전히 부패하여 상품성을 잃었다. 이를 통해 저온 저장고가 보급되어 있지 않은 미얀마의 로컬마켓에 서 과실을 상온 유통할 경우 과실의 유통기간이 1주일 이내로 매우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10°C 및 4°C에 과실을 저장하면서 저장 중 중량감소율과 상 품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수확 후 저장 실험에서는 중량감소율, 경도, 당도, 산도, 부패율 등을 기본적인 품질변화 지표로 조사하지만 미얀마 예진대학교 연구실에는 과실의 품 질 인자를 조사할 수 있는 기초 장비가 구축되지 않아 중량감 소율와 육안 관찰을 통한 상품성 변화만을 조사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중량감소율은 모든 과실에서 저장 8주까 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Table 2). 저장 8주 후 용과의 중량감소율은 10°C 및 4°C 저장에서 각각 27.6%, 20.2%로 다른 과실에 비해 낮았다. 용과는 상온저장에서 저장 1주 만에 중량감소율이 20.0%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10°C, 4°C 저장에서 각각 저장 6주, 8주의 중량감소율과 비슷한 수 준으로 저온 저장을 통해 5주 이상 중량감소가 억제되었다. 망 고스틴 역시 10°C 이하의 저장을 통해 중량감소율 증가가 억 제되어, 저온 저장 5~6주의 중량감소율이 상온 저장 1주의 중 량감소율과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특히 4°C에 저장한 망고스 틴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10°C 저장에 비해 중량감소율이 낮았으며, 저장 8주에는 4°C 저장이 10°C 저장에 비해 중량 감소율이 8.5% 낮았다. 파파야와 파인애플의 중량감소율은 10°C와 4°C 저장 간 큰 차이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 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네 종류의 과실 모두 10°C 저장만으로 도 상온 저장에 비해 중량감소율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 으며, 4°C에 저장할 경우 저장 3주까지 중량감소율을 10% 이 내로 조절할 수 있었다.

    과실의 상품성은 부패 발생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는데, 모든 과실에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부패가 많이 발생하였고 상온 저장에서는 저장 2주 만에 100% 부패하였다 (Table 1 and 3, Fig. 1). 상품성 80%를 기준으로 선도유지기간을 고려 했을 때, 10°C 이하로 저장한 용과, 파파야, 파인애플 모두 4~5주까지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4°C 저장에서는 망고스 틴을 제외하고 모든 과실에서 저장 6주까지 상품성이 70% 이 상으로 유지되었다. 전반적으로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부패과 발생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저온에서 부패를 일 이키는 균의 활동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이러한 경향은 Ketsa & Paull (2011)의 보고에서도 확인되었다. 용과 는 4°C 저장으로 저장 3주까지 부패과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파파야는 10°C 저장만으로도 저장 3주까지 부패과가 발생하 지 않았다. 망고스틴은 다른 과실에 비해 부패과가 많이 발생 하였다. 상온 저장 1주 만에 상품성이 88.0% 감소하였으며, 10°C 및 4°C 저장에서도 저장 1주 만에 각각 46.0%, 20.5% 감소하였다. 망고스틴은 10~12°C의 온도 및 85~95% 상대습 도가 저장에 가장 적합하며(Noichinda, 1992;Choehom et al., 2003), 10~12°C 이하의 온도에 저장했을 때 냉해가 발 생 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Choehom et al., 2003;Dangcham et al., 2008). 파파야와 파인애플의 저장성은 수확 숙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변색기(breaker stage)에 수확한 파파야는 7°C 온도조건에서 14일 가량 저장이 가능하며, 변색 기 이전인 녹색기(mature green stage)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같은 온도조건에서 21일까지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Paull et al., 1997). 또한 파인애플 역시 녹색기에 수확 한 과실의 경우 10°C 온도조건에서 4~5주가량 저장이 가능하 지만, 더 성숙한 과실의 경우 7.5°C에 저장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Hardenburgh et al., 1986;Paull, 1997). 본 실험에서는 공시재료를 로컬마켓에서 구입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수확 숙 기를 판단 할 수 없었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 수확 직 후 숙기에 따라 과실을 구분 한 후 수확 숙기에 따른 저장성 을 비교하는 실험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 으로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과실의 최적 온도 조건은 품목별 로 다르기 때문에 각 품목에 적합한 온도 조건에서 저장성을 확인해야 하지만, 본 실험은 목포대학교에서 지원한 저장고 2 개에서만 실험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온도에서 저장 실 험을 진행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품목별 최 적 온도 조건을 구명하기 보다는 저온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 지 않은 미얀마의 로컬마켓에 수확후 관리기술의 도입 및 저 온 유통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미얀마에서 수확된 용과, 망고스틴, 파 파야, 파인애플은 상온 유통 시 유통기간이 1주일 내외로 매 우 짧으며, 10°C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했을 때 상온 저장에 비해 유통기간이 4~5주가량 연장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용 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애플과 같은 열대 과일은 대부분 10°C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냉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추후 다 양한 온도조건에서 저장하면서 각 품목에 적합한 저장 조건을 확립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 속적인 후속 연구를 위해 목포대학교는 미얀마 예진대학교와 꾸준한 연구 협력 체계를 통해 미얀마 농산물의 수확후 저장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저장시스템을 지원하며 우리나라의 앞 선 기술을 전파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적 요

    본 연구는 미얀마에서 생산된 용과, 망고스틴, 파파야, 파인 애플을 저장하면서 저장온도에 따른 상품성 조사하여 선도유 지기간 향상을 위한 저온유통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 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저장온도를 상온, 10°C, 4°C로 하여 8주 동안 저장하면서 과실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얀마에서 과실을 상온 유통 할 경우 수분감소 및 부패 발생으로 유통기간이 1주일 이내로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2. 중량감소율은 모든 처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 가하는 경향이었고, 상온 저장의 경우 저장 1주 만에 중량감 소율이 20% 정도였으나 4°C 저온저장은 저장 6주까지 중량 감소율이 20% 이내로 조사되었다.

    3. 모든 과실에서 부패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 였고, 10°C 이하로 저장하였을 때 4~5주 정도 저장기간을 연 장 할 수 있었다.

    4.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0°C 저온저장이 과실의 저장성 향상에 가장 우수하였으나, 향후 각 품목별 수확 숙기에 따른 저장성 구명, 최적 저장 온도 설정 및 상대습도에 따른 저장 기간 구명 등 저장성 향상 및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SIA-32-2-135_F1.gif

    Change in external (upper) and internal (lower) appearances of dragon fruit (A), mangosteen (B), papaya (C), and pineapple(D) during storage at 10°C and 4°C

    Table

    Fruit weight loss (%), pH, and marketability (%) of dragon fruit, mangosteen, papaya, and pineapple fruits at harvest and one weeks after harvest stored at room temperature.

    Change in weight loss (%) of dragon fruit, mangosteen, papaya, and pineapple during storage at 10°C and 4°C.

    Change in marketability (%) of dragon fruit, mangosteen, papaya, and pineapple during storage at 10°C and 4°C.

    Reference

    1. Cheohom, R. , S. Ketsa, and W.G. van Doorm.2003. Chilling injury in mangosteen fruit. J. Hort. Sci. Biotechnol. 78 : 559-562.
    2. Dangcham, S. , J. Bowen, I.B. Ferguson, and S. Ketsa.2008. Effect of temperature and low oxygen on pericarp hardening of mangosteen fruit stored at low temperature. Postharvest Biol. Technol. 50 : 37-44.
    3. Hardenburgh, R.E. , A.E. Watada, and C.Y. Wang.1986. The com-merical storage of fruits, vegetables, and florist and nursery stocks. US Dept. of Agr. Handbook No. 66. Washington DC. USDA.
    4. Jung, J.W and J.S. Kim.2009. Myanmar’s main industrial. KOTRA-KIEP.
    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2002. Myanmar Agricultural Investment Climate Survey Report.
    6. Myanmar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2014. Myanmar Agriculture in Brief 2014 MOAI.
    7. Noichinda, S. 1992.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condition on quality and storage life of mangosteen (Garcinia manostana L.) fruit. M.S. Thesis, Bangkok. Kasetsart University.
    8. Paull, R.E. 1997. Pineapple. in Mitra SK.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ge of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p. 123-143.
    9. Paull, R.E. , W.T. Nishijima, M. Reyes, and C. Cavaletto.1997. Postharvest handling and losses during marketing of papaya (Carica papaya L.). Postharvest Bol. Technol. 11 : 165-179.
    10. Yim, D.S. 2011. Analysis of production and trade of agro-products in Myanmar. Korean J. Untl. Agri. 23 : 485-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