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1 pp.54-6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1.54

Variation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of 172 Korea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Varieties

Tae-Young HWANG*, Jae-Won Lee**, Jwakyung SUNG**†, Hong-Sig KIM**†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 Cente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Jeollabuk-do 54875, Korea
**Department of Crop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Life Science and Environment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Chungcheongbuk-do 28644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article.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43-261-2512 (E-mail) jksung73@chungbuk.ac.kr (Phone) +82-43-261-2513 (E-mail) hongsigk@chungbuk.ac.kr
February 16, 2020 March 4, 2020 March 6, 202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of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released from 1913 to 2013. The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were compared by utilization types and seed color. By each component, protein content was 38.6% (ranged from 31.6% to 45.3%), oil content was 18.4% (15.3% - 21.5%). The content of palmitic acid in saturated fatty acids (SFA) was 11.1% (8.1% - 13.5%), and stearic acid content was 3.7% (1.9% - 5.4%).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unsaturated fatty acids (USFA) was 26.4% (13.1% - 41.8%). Linoleic acid content was 50.9% (37.2% - 63.0%)%. Linolenic acid content was 7.6% (5.7% - 9.8%). Linoleic/Linolenic acid ratio content was 6.8% (5.3% - 8.9%). The highest protein content was 45.3% in Saedanback, highest oil content was 21.5% in Neulchan. High oleic acid contents and low linoleic acid contents of Gemjong1 is very high quality fatty acids. In comparison among the protein, oil and fatty acid average contents according to utilization types, protein was the highest in vegetable & early maturity group, and oil was the highest in sauce and paste group. SFA were lowest in soy sauce and paste group, and USFA were lowest in vegetable & early maturity group. The ratio of ω-6/ω-3 was the lowest in cooking with rice group. In comparison among the protein, oil and fatty acid average contents according to seed color,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green seeds, oil content was highest in yellow seeds. SFA were lowest in yellow and black seeds, and USFA were lowest in brown seeds. The ratio of ω-6/ω-3 was also the lowest in brown seeds.



한국 콩 172 품종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변이

황 태영*, 이 재원**, 성 좌경**†, 김 홍식**†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

초록


    서 언

    콩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약 40%정도로(Kim et al., 1995), 25~45%의 범위에 있으며, 11S인 Glycinin과 7S인 β- conglycinin이 주된 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Derbyshire et al., 1976). 콩의 단백질은 식물 단백질 중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물 리화학적 기능이 우수하여(Ju, 1985), 육종 목표로서 식용 콩의 단백질 함량을 높이고, 단백질 특성을 개선시키는 성분개량 및 고기능성 품종개발에 있다(Kim et al., 1995). 현재 우리나라 에서는 고단백 콩 육종과 관련하여 단백콩과 새단백콩이 개발 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여교잡 및 순환선발법을 이용한 품종개 발이 계속 시도되고 있다(Wilcox, 1998). 품종 간 단백질의 함량 변이가 환경에 의한 변이 폭보다 더 크며 주로 생식 생 장기에 저온에서 성숙했을 때 단백질을 더 많이 축적한다고 보고되었다(Schutz & Bernard, 1967;Shorter et al., 1977;Wolf et al., 1982;Wilson, 2004). 콩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 량을 조사한 결과, 건물중 대비 34~57% 범위에서 변이를 보 였고(Wilson, 2004), 단백질 함량과 수량은 부의 상관이었다 (Cober and Voldeng, 2000). 미국 FDA에서는 하루 25g의 콩 단백질 섭취하면 심장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Soy Protein Health Claim을 인정하였으며, 이후 콩 식품은 서양인 의 식생활에 매우 빠르게 침투하였다(Fukushima, 2000). 콩에 서 단백질은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 중 하나로, 단백질의 함 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현재 국내 콩 육종사업의 중요 한 목표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Im et al., 2008).

    한국 콩 육성품종, 야생종 및 재래종의 지방과 지방산 함량 을 분석하여 유용 유전자원을 탐색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콩 수집종의 지방함량은 평균 17.4%이며 최고함량은 21.7%였다(Kwon, 1972). 반면 야생콩 132점의 조지방 함량을 조사하였을 때 평균 9.3%로 일반 재 배종 콩에 비하여 낮으며(Yun et al., 2005), 외국도입 콩 품 종의 지방함량이 20% 내외로 한국 주요 품종에 비하여 다소 높다고 보고되었다(Yoon et al., 1984). 국내 주요 콩 46품종 의 지방함량은 평균 18.2%로 나타났으며(Choung, 2006), 콩 의 지방함량과 수량간의 관계에서는 지방함량의 수준에 따라 서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지방함량이 18.0%일 때는 수량과 정의상관을 보이나, 22.5%를 초과하면 부의 상관을 보 인다고 보고되었다(Wang, 2006).

    콩의 지방은 매우 유용한 5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palmitic(16:0), stearic(18:0), oleic(18:1), linoleic (18:2) 및 linolenic acid(18:3)의 함량과 조성비는 유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유지의 용도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palmitic acid 12%, stearic acid 4%)이 16%, 불포화지방산(oleic acid 23%, linoleic acid 53%, linolenic acid 8%)이 84%로 구성되어 있다(Fehr, 2007;Lee et al., 2007). 포화지방산(Palmitic acid + Stearic acid)의 함량이 7.5% 이하 때 저포화지방산으로 분류하는데 (Fehr, 2007), 포화지방산은 콜레스테롤 생성과 연관된 건강상 위험인자의 하나이기 때문에 콩에서는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콩의 품질을 개량하기 위한 육 종의 목표로 자리 잡았다(Lee et al., 2007). 한편 불포화지방 산인 Oleic acid의 함량이 높은 지방은 산화안정성이 높아 가 공적성이 좋아서 바이오디젤, 윤활제 및 접착제로 이용되고 있 다. Linolenic acid는 인체에서 합성되지는 못하고, 신진대 사에 일정한 촉진작용을 하고 있으나 필수지방산에는 속하 지 않으며, 3개의 이중결합이 있어 불안정하고 쉽게 산화되 기 때문에 지방과 가공제품의 품질 및 영양적 가치를 저하시 킨다(Liu and White, 1992). 현재 콩 육종가들은 Linoleic, Linolenic acid의 함량을 줄이고 Oleic acid의 함량을 증가 시켜 산화안전성이 높은 이용성 및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해 지방산 조성을 개선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Rahman et al., 2001).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ω-6)와 linolenic acid(ω-3)가 결핍되면 인간의 건강에 유해하기 때문에 linoleic acid(ω-6)와 linolenic acid(ω-3)와의 함량 균형비는 인간의 영양에 매우 중 요하다(Liu & White, 1992). 특히 콩에 들어 있는 linoleic acid의 결핍 시 성장저하, 발육부진, 시력저하, 학습능력 저하 및 순환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Gebauer et al., 2006). 일반적으로 linoleic acid(ω-6) 지방산을 linolenic acid(ω-3)보다 10배에서 많게는 50배 정도 더 많이 섭취하고 있어 심장병, 암, 염증, 면역관련 질병 등에 노출된다. 건강상 지방산의 섭취비율은 2(ω-6):1(ω-3)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2000;Brouwer et al., 2004;Gebauer et al., 2006). 콩은 ω-3 지방산인 linolenic acid 함량은 낮고 (8~9%), ω-6 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은 7배 정도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linolenic acid 함량을 높이고 linoleic acid 의 함량을 낮추어 ω-3 지방산의 섭취를 높임으로써 필수지방 산의 균형 섭취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Abel et al., 2004). 따 라서 본 연구는 국내 콩 품종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에 대 한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여 고품질 콩 품종 육성 및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재료 및 재배방법

    시험품종으로는 1913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 육성기관별로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 성된 139품종, 농업기술원(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 술원)에서 육성된 12품종, 대학(경북대학교, 경상대학교, 영남 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육성된 13품종, 연구소(한국원자력연 구원)에서 육성된 3품종 및 회사(소이벤처)에서 육성된 5품종 이다(Table 1). 2014년 5월 28일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 대학 전작포장에서 휴폭 70 cm, 주간 15 cm로 1주당 3립씩 파종하였고, 초생엽이 전개되었을 때, 1주당 2개채씩 남기고 솎아주었다. 시비는 콩 복비 50 kg/10 a(N : P2O5 : K2O=3 : 3 : 3.4 kg/10 a)를 전량기비로 하였으며, 기타 재배관리는 농 촌진흥청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수확한 시험품종 종실 시 료는 건조 후 –20°C의 냉동고에서 보존하였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 분석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micro-Kjeldahl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콩 종실을 grinder(BCG-528 MODERN, SUPREME ELECTRIC)와 막자사발로 곱게 분쇄 한 뒤, 분쇄된 콩 종실 시료 0.5 g을 칭량하여 분해관에 넣고, 황산(H2SO4) 20 ml와 촉매제(CuSO4 + K2SO4)를 첨가 후 415°C의 분해기(HDGPro/ MA)에서 2시간 분해 후 30분간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그 후 자동 kjeldahl 증류장치(HKD-Pro)를 이용하여 증류 한 뒤 Boric acid에 흡착된 암모니아 황산 표준용액(0.1N)으로 적정 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3반복으로 분석하였다.

    3. 종실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가. 지방

    Soxhlet 추출법을 이용하여 조지방을 정량하였다. 수기의 항 량(W0) 도달을 위하여 깨끗이 세척한 뒤 105°C의 건조기에서 2~4시간 정도 건조한 뒤 데시케이터에서 30분 방냉 후 실온 에 도달하면 무게를 칭량하였다. 이 과정을 수기의 항량이 될 때까지 반복하여 칭량하였다. 이후 콩 종실을 grinder (BCG- 528 MODERN, SUPREME ELECTRIC)와 막자사발로 곱게 분쇄 한 뒤, 분쇄된 콩 종실 3g을 원통여과지에 담은 뒤 Soxhlet 장치에 설치하고, 항량에 도달한 수기에 추출용매 에 틸에테르 200 ml를 첨가하여 40°C의 항온수조에서 6시간 가 열해 조지방을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Soxhlet 장치를 분 리하여 감압농축기를 통해 수기에 남아있는 에틸에테르를 완 전히 제거한 후 수기를 105°C의 건조기에서 1시간, 데시케이 터에서 30분간 방냉 후 칭량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3반복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조지방(%) W 1 W 0 S × 100

    • W1 : 지방 추출 후 무게, W0 : 수기 항량, S : 시료 중

    나. 지방산 조성

    지방산 조성분석은 조지방을 분석한 oil에서 추출된 50 μl와 반 응시약 (methanol : heptane : benzen : 2,2-dimethoxypropane : H2O4 = 37 ml : 36 ml : 20 ml : 5 ml : 2 ml) 2 ml를 vial 에 넣어 혼합한 뒤 80°C의 heating block에서 20분간 반응시 킨 뒤 냉장 보관하였다. 분석하기 바로 직전 꺼내 두 개의 층 중 상등액 800 μl를 취하여 GC용 vial에 옮겨 넣고 GC (Agilent 6850)에 주입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분석은 3반복으로 실행하였으며, GC 분석은 HPINNOWAX 19091N-133 (30 m × 0.25 mm, 0.25 μm) column 을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Oven의 초기 온도를 150°C에서 5분 동안 유지한 후 분당 5°C씩 상승시켜 230°C로 유지시켰 다. 시료 주입구의 온도는 250°C이며 시료 검출기의 온도는 280°C를 유지시켰다. 이동상인 질소 가스는 분당 1.3 ml의 유 속을 유지하고, 주입량의 분할 비율은 50 : 1로 하여 시료 1 μl를 주입시켜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분석은 3반복으로 시험하였다(Table 2).

    콩 지방산의 chromatogram은 retention time에 따라 포화지 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먼저 분리되었고, 그 뒤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 그리고 linolenic acid까지 모두 20분 이내에 분리되었는데, 불포화지방산보다는 포화지방산의 머무른 시간이 빨라 먼저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software (SAS Institute Inc., ver 9.1)와 Excel 2013을 사용하였으며, 평균간 분석은 Duncan의 다중범 위 시험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육성품종의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

    1913년부터 2013년까지 육성된 172개 품종의 단백질,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은 Table 3과 같다. 육성품종의 단백질 및 지방의 총 평균함량은 각각 38.6%, 18.4%이었으며, 단백질 은 31.6%~45.3%의 범위에 있었고, 지방은 15.3%~21.5%의 범위에 있었다. Choung(2006)이 한국 주요 콩 품종 46개의 지방함량이 18.2%라고 보고한 결과와 Yoon등(1984)이 한국 콩 장려품종의 지방함량이 18%라고 보고한 것과 비슷한 경향 이었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포화지방산 중 에서 Palmitic acid의 평균함량은 11.1%로 8.1%~13.5%의 범 위를 보였고, Stearic acid의 함량은 평균 3.7%로 1.9%~5.4% 의 범위에 있었으며, 지방산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불포 화지방산 중 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26.4%로 13.1% ~41.6%의 범위에 있었으며, Linoleic acid의 평균함량은 50.9%로 37.2%~63%의 범위에 있었다. Linolenic acid의 평 균함량은 7.6%로 5.7%~9.8%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를 포함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평균 14.8%로 10.8%~17.6%의 범위에 있었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 그리고 Linolenic acid를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의 평균함량은 84.9%로 82.2%~89.3%의 범위내 있었다. Linoleic acid(ω-6)/Linolenic acid(ω-3)비율의 평균은 6.8%로 4.5%~9% 의 범위 내에 있었다.

    육성품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분 포는 Fig. 1과 같다. 단백질 함량의 분포는 35%~40%의 범위 에서 121품종이 속해있어 가장 많았고, 40%~45%의 범위 내 에서는 42품종이 속해있었고, 35%이하가 8품종, 45% 이상의 고단백질을 함유한 품종은 1품종이었다. 지방함량의 분포는 18%~20%의 범위 내에서 95품종으로 가장 많이 속해 있었고, 16%~18% 범위에서 60품종이 속해 있었고, 16%이하는 5품종 이 속해 있었다. 20% 이상인 고지방을 함유한 품종은 12품종 이었다. Palmitic acid함량은 11%~13%의 범위 내에 89품종이 속해있어 가장 많았고, 9%~11%의 범위에서는 75품종, 9%이 하에 속하는 품종은 3품종, 가장 높은 13%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품종은 5품종이었다. Stearic acid의 함량 분포는 3%~4%의 범위 안에서 103품종으로 가장 많았고, 4%~5%의 범위 내에서는 49품종, 2%~3% 범위 내에 속하는 품종은 16 품종, 2% 이하는 1품종, 5% 이상은 3품종이었다. Oleic acid 의 함량은 25%~35% 범위 안에서 92품종으로 가장 많았고, 15%~25%의 범위에서 69품종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고, 15% 이하는 2품종, 35% 이상은 9품종이 속해 있었다. Linoleic acid는 50%~60%의 범위가 104품종으로 가장 많은 품종이 속 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40%~50%가 63품종이 포함되었고, 40% 이하는 2품종, 60% 이상은 3품종이 속해 있었다. Linolenic acid는 7%~8%의 범위에 66품종으로 가장 많이 속 해 있었고, 6%~7%범위에 49품종, 8%~9%범위에서 42품종의 순이었다. 6% 이하에는 3품종이 속해 있었고, 9% 이상에는 12품종이 속해 있었다. 포화지방산은 13%~15%의 범위에 93 품종으로 가장 많은 품종이 속해 있었고, 15%~17%의 범위에 는 64품종, 13% 이하인 품종은 8품종, 17% 이상인 품종은 7 품종이었다. 불포화지방산은 83%~85% 범위에 80품종, 85%~87% 범위에 75품종이 속해 있었고, 83% 이하는 11품종, 87% 이상은 6품종이 속해 있었다. Linoleic acid(ω-6)/ Linolenic acid(ω-3)의 비율은 6.5%~7.5%의 범위가 93품종으 로 가장 많은 품종이 분포해 있었고, 5.5%~6.5%의 범위에 52품종, 7.5%~8.5% 범위에 20품종이 속해 있었다. 5.5% 이 하는 4품종, 8.5% 이상은 3품종이 각각 분포해 있었다.

    2. 용도별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변이

    용도별 한국 콩 품종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변 이는 Table 4와 같다. 단백질 함량은 용도별로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으나 풋콩 및 올콩용 품종과 밥밑용 품종이 높은 경 향이었다. 지방함량은 장류용 품종(18.7%)이 가장 높았고, 나 물용 품종과 풋콩 및 올콩용 품종과 밥밑용 품종은 비슷하였 다. Palmitic acid의 함량은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평균 11.7%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그 외의 용도별로는 큰 차이 가 없었다. Stearic acid의 함량은 용도별로 차이가 없었다. Oleic acid의 함량은 장류용 품종과 밥밑용 품종이 높았고, 다 음으로 나물용 품종이 높았으며 풋콩 및 올콩 품종이 가장 낮 은 경향을 보였다. Linoleic acid의 함량은 용도별로 차이가 없었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밥밑용 품종이 가장 높았고, 장류용 품종, 나물용 품종과 풋콩 및 올콩 품종 간에는 차이 가 없었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를 포함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용도별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나물용 품종이 평균 15.1%로 가장 높았고, 풋콩 및 올콩용 품종과 밥밑용 품종 및 장류용 품종은 비슷하였다.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을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용도 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Linoleic acid(ω-6)/Linolenic acid(ω-3)의 비율은 평균 나물용 품종이 평균 7.02%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풋콩 및 올콩용(6.8%), 장류용(6.8%), 밥 밑용(6.5%) 품종의 순이었다.

    3. 종피색별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변이

    종피색에 따른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의 변이는 Table 5와 같다. 단백질의 평균함량은 녹색콩이 39.6%, 갈색콩이 39.4%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방함량은 황색콩과 검정콩이 각각 18.5%, 18.2%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Palmitic acid의 함 량은 종피색 간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Stearic acid의 함량 또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Oleic acid의 함량은 녹 색콩이 27.9%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황색콩이 26.6%로 높았으며 녹색콩이 27.9%, 검정콩이 25.5%, 갈색콩이 25.0% 순의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평균함량은 종 피색 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갈색콩이 51.8%로 가 장 높았으며 검정콩이 51.5%, 황색콩이 50.8%이었고, 녹색콩 이 49.6%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Linolenic acid의 평균 함량은 갈색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검정콩(7.9%)이 높았 고, 황색콩(7.4%)과 녹색콩(7.3%)이 녹색콩이 낮은 경향을 보 였다.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종피색 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 았으나 갈색콩이 15.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녹색콩이 14.9%, 황색콩과 검정콩이 14.8%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불포 화지방산 또한 종피색 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ω-6/ω-3의 비율은 황색콩이 6.9%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 고, 녹색콩(6.8%), 검정콩(6.6%), 갈색콩(6.4%) 순이었다.

    4. 각 성분의 최대 및 최소 함량 품종

    각 성분별 최대 및 최소품종을 살펴보면 Table 6과 같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새단백콩 이었으며 가장 낮 은 품종은 아가8호 이었다. 지방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늘 찬콩, 가장 낮은 품종은 천상콩 이었다. Palmitic acid의 함량 이 가장 높은 품종은 진품콩2호, 가장 낮은 품종은 상원콩 이 었으며 stea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개척2호, 함량 이 가장 낮은 품종은 다올콩 이었다. oleic acid의 함량이 가 장 많은 품종은 검정콩1호, 가장 낮은 품종은 장수콩 이었으 며, linoleic acid의 함량이 최대인 품종은 장수콩, 최소품종은 검정콩1호 이었다. Linolenic acid의 함량이 최대인 품종은 영 양콩, 최소품종은 금강콩 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진품콩2호, 가장 낮은 품종은 상원콩 이었다. 불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상원콩, 가장 낮은 품 종은 진품콩2호 이었고, ω-6/ω-3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금강콩, 가장 낮은 품종은 남풍콩 이었다.

    적 요

    1913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변이는 다음과 같 다. 총 단백질 함량의 평균은 38.6%(31.6~45.3%), 지방함량의 평균은 18.4%(15.3~21.5%), 포화지방산 중 Palmitic acid의 함량은 평균11.11%(8.1~13.5%), Stearic acid의 함량은 평균 3.7%(1.9~5.4%),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26.4%(13.1~41.8%),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50.9% (37.2~63.0%), Linolenic acid의 함량은 평균 7.6%(5.7~9.8%), Linoleic(ω-6)/Linolenic(ω-3)acid의 비율은 평균 6.8(5.3~8.9)이 여서, 포화지방산이 평균 14.8%(10.8~17.6%), 그리고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평균 84.9%(79.9~88.7%)이었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45.3%로 새단백콩이었으며, 지방함량이 가 장 높은 품종은 21.5%를 함유한 늘찬콩이었다. 고 Oleic acid 함량인 동시에 저 Linoleic acid 함량인 검정콩1호는 양질의 지방산을 함유한 매우 유용한 품종이었다. 용도에 따른 단백 질, 지방 지방산의 평균함량 중 단백질의 함량은 풋콩 및 올 콩용 품종이 가장 높았고, 지방 함량은 장류용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지방산은 장류용품종이 가장 낮았고, 불포화지 방산의 함량은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ω-6/ω-3 의 비율은 밥밑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종피색에 따라서는 단 백질 함량은 녹색콩이 가장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가 장 높았다. 포화지방산은 황색콩과 검정콩이 가장 낮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갈색콩이 ω-6/ω-3의 비율 또한 갈색콩이 가 장 낮게 나타났다.

    Figure

    KSIA-32-1-54_F1.gif

    Number of varieties by distributions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Table

    Number of soybean varieties classified by released year and breeding organization for this experiment

    Analytical conditions of GC for fatty acid

    Mean,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in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Mean and range values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classified by utilization types in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Mean and range values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classified by seed color in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Varieties with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contents in 172 Korean soybean varieties

    Reference

    1. Abel, S., Kock, M.D., Smuts, C.M., De Villiers, C., Swanevelder, S., Gelderblom, W.C.A. 2004. Dietary modulation of fatty acid profiles and oxidative status of rat hepatocyte nodules: Effect of different n-6/n-3 fatty acid ratios. Lipids 39: 963-976.
    2. Brouwer, I.A., Katan, M.B., Zock, P.L.. 2004. Dietary α-linolenic acid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but increased prostate cancer risk: A meta-analysis. J. Nutr. 134: 919-922.
    3. Choung, M.G. 2006. Variation of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Korean soybean germplams. Korean J. Crop Sci. 51: 139-145.
    4. Cober, E.R., Voldeng, H.D. 2000. Developing high-protein, highyield soybean populations and lines. Crop Sci. 40: 39-42.
    5. Connor, W.E. 2000. Importance of n-3 fatty acid in health and disease. Am. J. Clin. Nutr. 71: 171S-175S.
    6. Derbyshire, E., Wright, D., Boulter, D. 1976. Legumin and vicilin, storage proteins of legume seeds. Phytochemistry 15: 3-24.
    7. Fehr, W.R. 2007. Breeding for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 Crop Sci. 47: 72-87.
    8. Fukushima, D. 2000. Soybean processing. In “Food proteins, processing Application,”ed. by Nakai, S. & Modler, HW, Wiley-VWC, New York, 309-342.
    9. Gebauer, S.K., Psota, T.L,, Harris, W.S., Kris-Etherton, P.M. 2006. n–3 Fatty acid dietary recommendations and food sources to achieve essentiality and cardiovascular benefits. Am. J. clin. Nutr. 83: 1526S-1535S.
    10. Im, M.H., Choung, M.G. 2008. Intra-and Inter-Variation of Protein Content in soybean Cultivar Seonnogkong. Korean J. Crop Science 53: 78-83.
    11. Ju, J.S. 1985. Nutrition of soybean. Korea Soybean Digest 2: 16-18.
    12. Kim, Y.H., Kim, S.D., Hong, E.H. 1995. Pres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soybean breeding program for high seed quality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12: 1-20.
    13. Kwon, S.H., Im, K.H., Kim, J.R. 1972. Diversity of protein and oil contents of the Korean soybean land races (I). Korean J. Breed. 4: 29-32.
    14. Lee, J.D., Bilyeu, K.D., Shannon, J.G. 2007. Genetics and breeding for modified fatty acid profile in soybean seed oil. J. Crop Sci. Biotech. 10: 201-210.
    15. Liu, H.R., White, P.J. 1992.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s with altered fatty acid compositions. J. Am. Oil Chem. Soc. 69: 528-532.
    16. Rahman, S.M., Kinoshita, T., Anai, T., Takagi, Y.. 2001. Combining ability in loci for high oleic and low linolenic acids in soybean. Crop Sci. 41: 26-29.
    17. Schutz, W., Bernard, R. 1967. Genotype × environment interactions in the regional testing of soybean strains. Crop Sci. 7: 125-130.
    18. Shorter, R., Byth, D., Mungomery, V. 1977. Estimates of selection parameters associated with protein and oil content of soybean seeds (Glycine max (L.) Merr.). Australlan J. Agricultural Res. 28(2), 211-222.
    19. Wang, Z.X. 2006. The influence of fertilizer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Chinese Agricultural Sci. Bulletin 22: 169-172.
    20. Wilcox, J.R. 1998. Increasing seed protein in soybean with eight cycles of recurrent selection. Crop Sci. 38: 1536-1540.
    21. Wilson, R.F. 2004. Seed composition. In HR Boerma, JE Specht, eds, Soybeans: Improvement, Production, and Uses, Vol 3.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Crop Science Society of America, an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62–677.
    22. Wolf, R., Cavins, J., Kleiman, R., Black, L. 1982.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mino acids and sugars. J. Am. Oil Chem. Soc. 59: 230-232.
    23. Yoon, T.H., Im, K.J., Kim, D.H. 1984.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obtained from Korean soybean varieties. Korean J. of Food Sci. and Tech. 16: 375-382.
    24. Yun, H.T., Seo, M.J., Kim, S.L., An, S.O., Kim, S.J. 2005. Variation of seed component contents in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Korean J. Crop Sci. 50: 108-111